♣ 천재일우(千載一遇) ♣
천재일우(千載一遇)란 천년에 한번 만날수 있는 기회란 뜻으로 좀처럼 만나기 어려운 기회를 이르는 말이지요- 때로는 천재일시(千載一時), 천재일회(千載一會), 천세일시(千歲一時)로 쓰기도 하지요
-
이 천재일우(千載一遇)라는 말은 중국에서 처음으로 사용한 말인데
- 동진(東晉)의 학자로서 동양태수(東陽太守)를 역임한 원굉(袁宏)은 여러 문집에 시문 300여편을 남겼어요
- 특히 그는 삼국명신서찬(三國名臣序贊)이라는 책을 썼는데 이책은《삼국지》에 실려있는
- 건국명신 20명을
찬양하는 행장기(行狀記)로 그중 위(魏)나라의 순문약(荀文若)을 찬양한 글에서
-
대저 백락(伯樂)을 만나지 못하면 천년이 지나도 천리마[駿馬] 한 필을 찾아내지 못한다고 했지요
-
그러니까
"백락(伯樂)을 만나지 못했다면 천년이 지나도 천리마는 없으리라
- 만년에 한번 기회가 오는것은 인간적인 법칙이며
천년에 한번 만나는
- (千載一遇)것은 현자와 지혜로운자의 아름다운 만남이다
- 그 만남에는 기쁨이 없을수 없는것인데 그 기회를 잃는다면 어찌 개탄치 아니하리오"라고 적었어요
-
순문약은 삼국시대때 조조(曹操)의 참모로 활약했으나
조조가 역심이 있음을 알고 반대하다가
- 배척당한 강직한 인물이었으며
백락(伯樂)은 주(周)나라 시대에 준마(駿馬)를 잘 가려냈다는 명인 이었지요
-
이 글에서 원굉은 백락처럼 뛰어난 인물을 알아보는 눈을 가진 임금으로 비유하였고
- 천리마는 탁월한 능력을 갖춘 명신으로 비유 하였지요
- 그래서 이러한 임금과 신하의 만남은 "천년에 한번오는 기회"라는 뜻이었지요
-
이렇듯 천재일우(千載一遇)처럼 우리내 인생길에도 반드시 기회는 온다 했지요
- 다만 그 기회를 알아보지 못하고 스쳐 지나가게 하는것이 문제라 하지요
- 백락(伯樂)이 준마를 알아보듯 우리도 그 기회를 놓치지 말어야 하는데 ....
-
우리가 인생을 살다보면 누구에게나 3번의 기회가 온다고 하지요
-
그 기회는 인연의기회, 재물의기회, 성공의기회 이기도 하지요
- 사주팔자에서는 이러한 기회를 운(運)과 복(福) 즉 대운(大運)이라고 한다 하네요
-
그런데 이 대운에는 소운(小運)이 먼저 온다 하지요
- 그러니까 대운이 들기전에 소운이 먼저 오는것이지요
-
소운 즉 폐운(閉運)은 나쁜 운세를 말함인데
때로는 아프게도 하고, 때로는 사업을 망하게도 하며,
- 때로는 괴로움을 주기도 하지요
- 그래서 대운(길연)이 오기전에 이를 막는 악연수가 생기므로 절대 좌절해서는 안되다 하지요
-
호사다마(好事多魔)라는 말이 있어요
-
좋은일에는 방해되는게 많다는 뜻인데 좋은일에는 탈도 많고 좋은일에는 방해가 많이 따른다거나
-
좋은일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많은 풍파를 겪어야 한다는 것을 비유한 말이지요
-
세상이치란 순풍에 돛단듯 흘러가는 법이 없어요
- 어느때 어느순간에 반드시 마(魔)가 끼는것이 인생살이 이지요
- 그 마(魔)를 어떻게 이겨내는냐 또 그 마(魔)를 어떻게 극복하느냐가 중요하며
- 그런후 천년에 한번 온다는 기회를 잘 잡아야 하지요
-
논어 자한편에 보면 세한연후 지송백지후조(歲寒然後 知松栢之後凋)란 말이 나오는데
- 이는 "겨울이 되어서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시들지 않는다는 것을 안다" 고 했어요
-
우리 평범한 범인들은 천년에 한번 온다는 기회를 잡지 못하고
세월이 지난후 그 기회를 안다는 뜻이지요
-
앞에서 말한것과 같이 천재일우(千載一遇)란 천년에 한번오는 정말 좋은 기회 이지요
- 이를 한자로 풀이하면 千(일천천) 載(실을재) 一(한일) 遇(만날우)자 인데
- 여기서 실을재(載)를 살펴보면
누구나 어려서부터 단, 십, 백, 천, 만, 억, 조 까지는 잘 알지만
- 그 다음으로 경(京), 해(垓), 자(枾), 양(穰), 구(溝), 간(澗), 정(正), 재(載), 극(極), 항하사(恒河沙),
-
아승기(阿僧祇), 나유타(那由他), 불가사의(不可思議), 무량대수(無量大數)는 잘 몰라요
- 그런데 실을재(載)자는 10의 44승 그러니까 10에 0 이 44개나 붙는다는 숫자 이지요
- 거기다가 천재(千載)라 했으니 천을 더 곱해야 하니 수학적으로 10의 -47승이 되지요
-
이 얼마나 불가분하고 불가능한 수의 영역인가요?
-
그런데 우리는 우리에게 다가온 이 엄청난 천재일우의 기회를 별 느낌없이 아무 생각없이 흘려 버리곤 하지요
-
그리고 지나치고 나서야 후회한들 아무 소용이 없어요
-
그래서 어떠한 기회가 주어 졌을때는 주저함이 없어야 대성할수 있다 했지요
-
이리재고 저리재고 망설이다가는 천재일우의 기회는 사라져 버리지요
-
세계 제1의 부호 빌게이츠((Bill Gates)는 하버드대 3학년때 자퇴를 하고
- 마이크로소프트(MS)를 개발하여 세계 최고의 부자가 되었으며
미국의 영화감독 스필버그(Spielberg)
- 또한 하버드대 3학년때 자퇴하고
"쥬라기 공원"을 만들어 엄청난 부를 창출했지요
- 또 현대그룹 창업주 정주영 회장은 언제 어느때고 "하면된다"는 신조로
기회가 왔을때는
- 반듯이 잡았기에 한시대를 풍미한 재벌이 되었어요
-
천재일우(千載一遇) 천년에 한번 온다는 기회 !!
흔히 말하는 기회(期回)란 자주 오는 것이 아니라 했어요
- 또 똑같은 기회란 두번다시 오지 않는다 했지요
그래서 무조건 잡아야 하는것이 천재일우 인지도 몰라요
-
또한 人生에서 기회를 잡는것 만큼 중요한 것이 기회를 잡을 준비이지요
- 어찌보면 기회는 누구에게나 올수 있다 했어요
-
그러나 그 기회를 잡는것은 결국 준비된 자의 몫이 아닐런지요?
-
그런데 요즘에는 신조어로 호사다마(好事多魔)를
-
"(호)랑이 같이 (사)납고 (다)람쥐같이 약은 (마)누라'를 줄인 단어로 쓰인다 하네요.
'일반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놀라운 기록들 (0) | 2017.08.26 |
---|---|
60세를 왜 화갑(花甲)이라 할까? (0) | 2017.08.24 |
거짓말 같은 사실 (0) | 2017.08.01 |
일본게이샤의 세계 (0) | 2017.07.31 |
[스크랩] 대한민국의 두 영웅 (0) | 2017.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