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613

人生無常(인생무상)

인생무상(人生無常) 인생(人生) 예순(六十)은 해(年)로 늙고 일흔(七十)은 달(月)로 늙고 여든(八十)은 날(日)로 늙고 아흔(九十)은 때(時)로 늙고 백세(百世)가 되면 분(分)마다 늙는다고 말 했다. 유수불복회(流水不復回) 흐르는 물은 다시 돌아오지 않고, 행운난재심(行雲難再尋) 떠도는 구름은 다시 볼 수 없네. 노인두상설(老人頭上雪) 늙은이의 머리위에 내린 눈은, 춘풍취불소(春風吹不消) 봄 바람이 불어와도 녹지를 않네. 춘진유귀일(春盡有歸日) 봄은 오고 가고 하건만, 노래무거시(老來無去時) 늙음은 한번 오면 갈 줄을 모르네. 춘래초자생(春來草自生) 봄이 오면 풀은 저절로 나건만, 청춘유불주(靑春有不住) 젊음은 붙들어도 머물지 않네. 화유중개일(花有重開日) 곷은 다시 피는 날이 있으나, 인생갱소년(..

황혼인생 2022.08.16

숫자 12의 신비

숫자 12의 신비 숫자 12의 신비 "일 년은 왜 열두 달일까 . '12'라는 숫자. 약수가 6개(1,2,3,4,6,12)인 숫자 중 가장 작은 수인데요. 알고 보니 이것저것 신기한 게 많습니다. 12는 '우주의 질서'와 함께 '완전한 주기'를 상징합니다. 실제 1년은 열두 달로 끝나고 다음 해가 시작되며 하루 역시 오전과 오후로 12시간씩 나뉘어져 있습니다. 이는 태양의 궤도를 상징하는 원을 30도씩 12등분하고 각각의 기점에 12개의 별자리를 붙인 조디악(Zodiac), 즉 황도십이궁(黃道十二宮)과 관련이 있습니다. 시계가 원형인 것은 해와 달의 원 운동을 본뜬 것으로 원에 같은 각도로 10개의 점을 찍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12개를 찍는 것은 가능하지요. 그래서 12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신성한 숫자로..

일반상식 2022.06.08

우리나라의 성씨 역사와 유래

단군은 우리 한(韓)민족이 세운 나라의 첫 임금 천제(天帝) 환인(桓因) 손자이며 환웅(桓雄) 아들 BC 2333년 아사달에 도읍을 정하고 고조선을 개국 엄밀히 따져, 한(韓)민족은 한 핏줄이 아니고 유사 종족, 동일 언어권을 갖고 있는 민족 연합. 한반도에는 옛부터 외국인이 귀화한 성씨도 많다. '한반도 250 성씨 중 130 성씨는 귀화성씨.' 특히, 고려시대에 가장 많은 외국인들이 귀화. 외국인이 귀화하기 시작한 시기는 삼국시대 초, 그당시는 주로 수(隋), 당(唐)의 중국인이었다. 고려시대 귀화인은 송나라 사람을 비롯 여진, 거란, 베트남,몽골, 위구르, 아랍 이조시대에는 명나라와 일본인 등 많은 외국인이 귀화. 이들이 귀화한 동기는 대체로 정치적 망명, 표착(漂着), 종교홍포(宗敎弘布), 투항(..

일반상식 2022.06.08

재미있는 우리말 유래

▣ 숙맥 숙맥 콩과 보리도 구별 못할정도로 어리석은 사람을 가리켜 '숙맥'이라고 한다 숙맥(菽麥)은 漢字로 '숙'은 콩, '맥'은 보리를 뜻함. ▣ 철부지 '철부지' 의 철은 季節의 변화를 가르키는 말이다. 겨울 네 여름 옷만 입고 다닐 만큼 생각이 짧은 아이들을 이르는 말이기도 합니다. 또한 '지혜'를 나타내는 말로도 사용되었으며 여기에 알지 못한다는 한자의 "不知(부지)"가 합쳐져 철부지 라는 말이 탄생하였답니다. ▣ 시치미떼다 옛날 사람들으 사냥을 할때, 자기의 매를 표시하기위해 매의 다리에 이름표를 달았다. 쇠의 뿔로만든 '시치미' 라는 이름표로 자기의 좋은 매가 남의매와 바뀌지 않도록 하였답니다. 하루는 친구와 함께 매사냥을 나간 사람이 친구의 매를 탐내 매의 다리에 달린 시치미를 떼어 자기의 ..

일반상식 2022.01.25

방송에서 쓰는 낯선 단어들

* 말끼 못 알아 듣는 게 갈수록 많아지고 해서 정리된 용어들(가나다 순 73개) ?갈라쇼(Gala Show): 어떤 것을 기념하거나 축하하기 위해 여는 공연 ?갤러리 (Gallery): 미술품을 진열. 전시하고 판매하는 장소, 또는 골프 경기장에서 경기를 구경하는 사람 ?걸 크러쉬 Girl Crush): 여성이 같은 여성의 매력에 빠져 동경하는 현상 ?그래피티 (Graffiti): 길 거리 그림, 길거리 벽에 붓이나 스프레이 페인트를 이용해 그리는 그림 ?그루밍 (Grooming): 화장, 털손질, 손톱 손질등 몸을 치장하는 행위 ?노멀 크러쉬(Nomal Crush): 평범하고 소박한 것이 행복하다고 느끼는 정서 동의어: 미니멀 라이프 (Minimal Life) ?뉴트로(New + Retro >> Ne..

일반상식 2022.01.25

우리 인생(人生)

유수불복회(流水不復回) 흐르는 물은 다시 돌아오지 않고, 행운난재심(行雲難再尋) 떠도는 구름은 다시 볼 수 없네. 노인두상설(老人頭上雪) 늙은이의 머리위에 내린 흰눈은, 춘풍취불소(春風吹不消) 봄 바람이 불어 와도 녹지를 않네. 춘진 유귀일(春盡有歸日) 봄은 오고 가고 하건만, 노래무거시(老來無去時) 늙음은 한번 오면 갈 줄을 모르네. 춘래초자생(春來草自生) 봄이 오면 풀은 저절로 나건만, 청춘유불주(靑春留不住) 젊음은 붙들어도 머물지 않네. 화유중개일(花有重開日) 꽃은 다시 피는 날이 있으나, 인생갱소년(人生更少年) 사람은 다시 소년이 될 수 없네. 산색고금동(山色古今同) 산색은 예나 지금이나 변하지 않으나, 인심조석변(人心朝夕變) 사람의 마음은 아침과 저녁으로 변하네. 화향백리(花香百里) 꽃의 향기는..

삶의 지혜 2021.11.06

마음 다스리는 글

福生於淸儉(복생여청검) 복은 검소함에서 생기고 德生於卑退(덕생어비퇴) 덕은 자신을 낮추고 물러나는데서 생기며 道生於安靜(도생어안정) 지혜는 고요히 생각하는데서 생긴다. 患生於多慾(환생어다욕) 근심은 욕심이 많은데서 생기고 禍生於多貪(화생어다탐) 재앙은 탐하는 마음이 많은데서 생기며 過生於輕慢(과생어경만) 허물은 잘난체하고 남을 하찮게 여기는데서 생기고 罪生於不仁(죄생어불인) 죄악은 어질지 못하는데서 생긴다. 戒眼莫看他非(계안막간타비) 눈을 조심하여 남의 잘 못된 점을 보지 말고 戒口莫談佗短(계구막타단) 입 조심하여 남의 단점을 말하지 말라. 戒心寞自貪嗔(계심막자탐진) 마음을 조심허여 스스로를 탐내거나 성내지 말고 戒身莫隨惡伴(계신막수악반) 몸을 조심하여 나쁜사람을 따르지 말라 無益之言寞妄設(무익지언막망설..

삶의 지혜 2021.10.10

주역64괘 풀이,해석 총정리

주역64괘 풀이,해석 총정리 주역은 8괘가 기본이다. 8개의 괘는 각각 3개의 막대기로(3효) 구성돼 있고,8괘를 상하로 배치해 괘상을 만들면 모두 64개가 된다.(8X8=64) 64개의 괘는 각각 6개의 막대기로(6효) 구성돼 있고,64괘가 가진 효는 모두 384효가 된다.(64X6=384) 8괘가 국어의 자음, 모음에 해당된다면, 64괘는 하나의 단어가 되고,384효는 하나의 문장이 된다. 8괘는 23, 64괘는 26, 384효는 27x3 이 된다. 주역의 자음과 모음, 그리고 단어를 공부하는 것은 2진법으로 해결되는데 주역의 문장에 해당되는 384효사를 공부하기 위해서는 괘상의 의미에(2진법)3효가 가진 의미를 다시 첨가해 주어야 한다. 1. 64괘 공부방법 최소한 단어가 되어야 의미가 통할 수 있..

일반상식 2021.10.07

순자(洵子)의 가르침

告由用謂之道 盡利矣(고유용위지도 진리의) 실용을 좇는 것을 도 라고 한다면, 이로움만을 다하게 될 것이고, 由欲謂之道 盡嗛矣(유욕위지도 진겸의) 원하는 바람을 좇는 것을 도 라고 한다면, 마음에 맞는것만을 다하게 될 것이며, 由法謂之道 盡數矣(유법위지도 진수의) 법 좇는 걱을 도 라고 한다면, 법 헤아림만을 다하게 될 것이고, 由埶謂之道 盡便矣(유예위지도 진편의) 권세 좇는 것을 도라고 한다면, 아첨만을 다하게 될 것이며, 由辭謂道 盡論矣(유사위도 진론의) 언변 좇는 것을 도라고 한다면, 논의만을 다 하게 될것이고, 由天謂之道 盡因矣(유천위지도 진인의) 자연좇는 것을 도라고 한다면, 자연 그대로만을 다하게 될 것이다. 此數具者 皆道之一隅也(차수구자 개도지일우야) 이러한 묘책들이 갖추어 진다하여도, 도의 ..

일반상식 2021.08.08

한국이 세계최고인 것들

1. 배만들기(조선) 세계 최초 - 8천년전 (경남 창녕군 부곡면 출토) 2. 고래잡이 세계 최초 - 8천년전 (경남 울주군 반구대 암각화) 3. 쌀농사 세계 최초 - 1만 5천년전 (충북 청원군 출토) 4. 신석기 세계 최초 - 2만년전 (전남 장흥군 출토) 5. 토기 세계 최초 - 1만 수천년전 (제주도 고산리 출토) 6. 고인돌 세계 최초 - 8천년전 (전남 화순군) 7. 빗살무늬토기 세계 최초 - 8천년전 (강원도 양양군 출토) 등등등 (위 연대는 최소한 그렇다는 것.) [삼한(三韓)] 사람들은 8천년전에 이미 배를 만들어 타고 다녔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8천년전 배가 경남 창녕군에서 발견되었다.(2005년도) 조선(朝鮮)에서 조선(造船: 배만들기)이 생긴 것. 게다가 조선(朝鮮)의 선(鮮)자..

일반상식 2021.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