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상식

침묵(沈默)의 위대(偉大)함

하라배 2017. 11. 20. 15:39

♡ 침묵(沈默)의 위대(偉大)함 ♡

옛말에 정수유심(靜水流深) 심수무성(深水無聲)이란 말이 있지요

이는 고요한 물은 깊이 흐르고 깊은 물은 소리가 나지 않는다는 뜻이지요

또 물은 만물을 길러주고 키워주지만 자신의 공을 남과 다투려 하지 않아요

그리고 물은 모든 사람들이 가장 싫어하는 낮은 곳으로만 흘러 늘 겸손의 철학을 일깨워주고 있지요

중국 전국시대의 의학자 "편작(扁鵲)"은 명의(名醫)로 전설적인 인물이지요

"편작불능육백골(扁鵲不能肉白骨)" 이라 하여 천하의 명의 편작도 죽은 사람을 살릴수는 없다는 뜻으로

충신도 망하는 나라를 유지할수 없다는 것을 비유한 고사성어로 편작의 유명세를 알수 있어요 그

런 그에게 중국의 위(魏)나라 왕(王) 문후(文侯)가 전설적인 명의(名醫) 편작(扁鵲)에게 물었어요

“그대 형제들은 모두 의술에 정통하다 들었는데 누구의 의술이 가장 뛰어난가?” 편작이 솔직하게 답했지요

“맏형이 으뜸이고, 둘째형이 그 다음이며, 제가 가장 부족합니다" 그러자 문왕이 의아해하며 다시 물었어요

"그런데 어째서 자네의 명성이 가장 높은 것인가?" 편작이 대답 했지요

"맏형은 모든 병을 미리 예방하며 발병의 근원을 제거해 버리지요

 환자가 고통을 느끼기도 전에 표정과 음색으로 이미 그 환자에게 닥쳐올 큰 병을 알고 미리 치료했던 것이지요

 그러므로 환자는 맏형이 자신의 큰 병을 치료해 주었다는 사실조차 모르게 되지요

 그래서 최고의 진단과 처방으로 고통도 없이 가장 수월하게 환자의 목숨을 구해주지만 명의로

세상에 이름을 내지는 못했습니다" "이에 비해 둘째형은 병이 나타나는 초기에 치료하지요

 아직 병이 깊지 않은 단계에서 치료하므로 그대로 두었으면

 목숨을 앗아갈 큰 병이 되었을지도 모른다는 사실을 다들 눈치 채지 못하지요

 그래서 환자들은 둘째 형이 대수롭지 않은 병을 다스렸다고 생각할 뿐이지요

 그러므로 둘째 형도 세상에 이름을 떨치지 못했습니다"

"이에 비해 소신은 병세가 아주 위중해진 다음에야 비로소 병을 치료하지요

 병세가 심각하므로 맥을 짚어 보고 침을 놓고

독한 약을 쓰고 피를 뽑아내며 큰 수술을 하는 것을 다들 지켜보게 되지요

 환자들은 치료 행위를 직접 보았으므로 제가 자신들의 큰 병을 고쳐 주었다고 생각하지요

 그래서 심각한 병을 자주 고치다보니 저의 의술이 가장 뛰어난 것으로 잘못 알려지게된 것이지요"

이 말을 들은 문후왕은 편작의 겸손을 보고 크게 깨우첬다 하지요

이처럼 자신의 영달을 형에게 돌리는 편작의 마음씨는 우리에게 많은것을 시사해 주고 있어요

과연 명의(名醫) 편작(扁鵲)은 자신이 유명해지기 위해서 병세가 아주 위중한 사람을 치료해 주었을까요?

그럼 무엇때문에 자신의 영화를 형에게 돌렸을까요? 그래요

항상 생각의 겸손함으로 자신보다 먼저 남을 존중할줄 아는 마음 자세 이지요

요즈음은 자기 잘났다고 큰 소리를 내는 세상이지만 진실로 속이 꽉 찬 사람은 자신을 드러내지 않는다 하지요

짖는 개는 물지 않고 물려는 개는 짖지 않듯 대인(大人)은

허세(虛勢)를 부리지 않고 시비(是非)를 걸어 이기거나 다투어 싸우고자 하지 않지요

시끄럽게 떠들고 이기고자 함은 속이 좁은 탓에 빗어지는 허세일 뿐이며 마음이 넓고 깊은 사람은 알아도 모른 척하며

자신의 재주를 과시해 돋보이려 하지 않아요 다만 붓을 들어

 세상의 옳고 그름을 설(說)하기만 하지요 옛날 어떤 가정에 부산한 아이가 있었지요

어느날 이 아이는 아버님이 아끼시는 조상 대대로 내려온 회중시계를 가지고 놀다가 잃어 버렸어요

아이는 열심히 찾았으나 찾을길이 없자 어머니에게 말했지요 워낙 집안의 보물이라 아버님이 아시면 경을 칠까 두려웠어요

그래서 아이와 어머니는 온통 집안을 뒤졌으나 찾을길이 없자 아버님께 사실대로 고(告) 하였지요

이 말을 들은 아버님은 " 너무 걱정 말거라 ~ 찾을수 있을게다!! " 하며 침착하게 모든 하던 일들을 멈추고

집안에 모든 전원까지 끈 채 조용히 있어 보자고 했어요 잠시 침묵이 흐른후 얼마 되지 않아 째깍째깍 소리가 들리기 시작했지요

시계는 주위 환경이 조용해지자 구석진 바닥에서 자신의 위치를 주인에게 알리고 있었어요

그러자 아버지는 아들에게 이렇게 말했어요 “얘야! 세상이 시끄러울때는 조용히 있어 보거라

 그러면 잃어버렸던 소중한 것들을 찾을수도 있을 것이다” 그래요 조용한 침묵속에 오히려 참된 가치와 위대함이 있는지도 몰라요

고요한 물은 깊이 흐르고 깊은 물은 소리가 나지 않듯 고요함 속에서 우리는 참 진리를 찾을수도 있는 것이지요

옛말에 침묵이란 밭을 갈고 씨앗을 뿌린후에 새싹이 돋아나기를 기다리는 농부의 기다림과 같다고 했지요

그래서 침묵이란 긴 인내와 희망을 필요로 하는지도 몰라요 최고의 경지에 오른 사람은 누가 자신을 알아주지 않아도

상처 받지 않고 또 자신을 알리지 못해 안달하지도 않아요

사람이 태어나서 말을 배우는 데는 2년~3년이 걸리지만 침묵을 배우기 위해서는 60년 아니 70년이 걸린다고 하지요

아는 사람은 말하지 않고 말하는 사람은 알지 못한다 했지요 그래요 요즘 하 어수선한 세상이지요

정의는 실종되고 거짖과 조작, 왜곡이 난무하는 세상이지요

눈만뜨면 거짖된 뉴스가 TV를 통해 홍수를 이루고 있어요 언론은 정권의 나팔수로 전락(顚落)한지 오래됐지요

침묵은 위대하고 정의는 죽지 않는다 했지요 허지만 요즘같은 때에는 가만히 있을수가 없어요

우리는 조국을 위해 목숨을 받친 애국선열의 숭고한 정신을 이어받고 영원무구한 자유평화를 누려야할

자손 만대를 위해서는 지성의 소리, 양심의 칼날을 들어야 하지요

필(筆)은 총칼보다 무섭다 했어요

행동하는 양심 살아있는 정의 이를 위해선 서슴없이 붓을 들어야 하지요 한용운이 조국을 위해

"님의 침묵"을 쓰고 숫한 재야 인사들 33인이 붓을 들어 "독립선언서"를 만들어 내듯 .....

'일반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에 한자가 붙어 생긴말  (0) 2017.11.24
알아두면 좋은 22가지통계  (0) 2017.11.22
신성공교(神聖工巧)  (0) 2017.11.20
사주팔자(四柱八字)란 어떤 것일까?  (0) 2017.11.12
호(號)와 자(字)  (0) 2017.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