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老年)의 건강(健康)을 좌우(左右)하는 ‘근감소증(筋’減少症)
“펄펄 나는 80세, 걷기 힘든 60세 노년의 건강 좌우하는 ‘근 감소 증’” 나이가들수록 팔다리
의 힘이 약해지고 거동이 불편해지는 이유는 골격을 지탱하는 근육이 점점 약해져서다.
노인들에게 주로 나타나는 이런 현상은 그동안 노화 과정의 일부로 당연하게.. 의료계-학계
질병코드 부여 한목소리.. 방치하면 근육 기능 80%까지 잃어… 일반 환자보다 사망률도2배
높아
치료할 약물 없어 근력 운동 중요… 국내선 아직도 근 감소 증 인식 부족. 美-日은 질병으로
분류 국가서 관리
의료계·학계 전문가들은 같은 연령대인 노인들의 신체능력이 천차만별인 이유를 ‘근 감소증
(사코페니아)’에서 찾을 수 있다고 설명한다.
나이가 들수록 팔다리의 힘이 약해지고 거동이 불편해지는 이유는 골격을 지탱하는 근육이
점점 약해져서다.
노인들에게 주로 나타나는 이런 현상은 그동안 노화 과정의 일부로 당연하게 여겨져왔다.그
러나 최근 의료계와 학계에서는 뼈엉성증(골다공증)이나
알츠하이머병(치매)처럼 ‘근 감소 증(사코페니아)’을 질병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높
다. 적극적으로 치료와 예방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2016년 11월 미국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세계 최초로 근 감소증에 대해 질병코드를 부
여했다. 질병코드는 국가 의료 시스템에서 질병을 분류할 때 쓰는 코드다.
이 코드가 있어야 의료진이 해당 질병에 대한 진단과 치료, 처방 같은 의료 행위를 합법적으
로 할 수 있다.
‘M62.84’로 명명된 미국의 근 감소 증 질병코드는 세계보건기구(WHO)가 발간하는 표준진
단지표인 국제질병분류(ICD)의 제10차 임상용 개정판 ‘ICD-10-CM’에도 공식 등록됐다.
올해 4월에는 일본도 근 감소 증에 질병코드를 부여했다.
근 감소 증은 일정 수준 이상 근육의 기능을 잃는 병이다. 특히 뼈를 지탱하고 움직이는골격
근의 기능이 연령대별 정상 수준보다 큰 폭으로 줄어드는 것을 말한다.
원인은 노화가 진행되면서 근육 생성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같은양의 근육을 만들더라
도 나이가 들수록 류신 등 필수 아미노산, 비타민D 같은 영양 공급과 근력 운동이 더 많이필
요하다.
박형수 매일사코페니아연구소 책임연구원은 “어떤 사람은 70세에 이미 거동이 어려워지고
어떤 사람은 100세에도 일상생활에 아무런 지장이 없는 이유를 근 감소 증으로 설명할수있
다”며
“25세 이후부터 근육이 자연 손실되기 시작해 40세 이후에는 그 속도가 점점빨라지는데,영
양 상태와 근력운동 여부에 따라 감소폭이 달라진다.”고 설명했다.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진단 기준은 보행 속도와 악력, 골격근의 질량이다. 아시아사코페니아
워킹그룹(AWGS)에 따르면,
아시아인의 경우 보행 속도가 초당 0.8m 이하로 떨어지거나 악력이 남자 26㎏, 여자 18㎏
이하일 때, 골격근의 양이 남자 ㎡당 7㎏ 이하, 여자 ㎡당 5.7㎏ 이하일 때 근 감소 증으로본
다.
문제는 근 감소 증을 계속 방치할 경우 근육 량이 최대 60%까지 줄고, 근육의기능도 80%까
지 잃을 수 있다는 점이다.
독립적인 일상생활이 불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골절과 낙상, 우울증, 비만, 제2 당뇨병, 장애,
나아가 사망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장일영 서울아산병원 노년내과 전임의는“같은 암환자라도 근 감소증을 앓는 환자가 일반환
자보다 사망률이 2배 이상으로 높다”며 “특별한 질병이 없어도 사망률에서 큰 차이가 나타
난다.”고 설명했다.
이를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도 다수 보고됐다. 둥비룽 중국 쓰촨대 웨스트차이나병원 교수팀
은 2009년 1월“지난해 2월 발표된 근 감소 증 임상연구논문 1703건을 메타 분석한 결과
근 감소 증이 사고, 암, 수술 등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난
해 9월 국제 학술지 ‘마투리타스(Maturitas)’에 발표했다.
아직까지 근 감소 증을 치료할 수 있는 약물은 없다. 근육이 분해되는 것을 막거나 근육이잘
생성되도록 도와주는 약물만으로는 근 감소증 의 진행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이다.
근력운동을 병행하면 약간의 영양 개선으로도 근 감소 증을 예방하고 개선할 수있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어떤 운동을 어느 강도로 얼마나 해야되는지에 대해선 아직까지 표준화된 답이
없다.
현재 유럽, 아시아 등 7개 워킹그룹이 인구집단 특성에 맞는 근 감소 증 진단 기준과 예방치
료를 위한 운동법을 개발 중이다.
국내에서는 아직 근 감소 증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실정이다. 지난해 세계 최단기간인 17년
만에 고령화 사회에서 고령사회로 진입한 한국은 앞으로 근 감소 증 환자가 쏟아져나오리란
우려가 있다.
장 전임의는 “국내에선 근 감소 증에 대한 질병코드가 없기 때문에 환자를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전무한 상황이다.
환자가 근 감소 증을 호소하더라도 처방 근거가 없어 속수무책”이라며 “국민들의 기대수명
보다 중요한 것은 건강수명이다. 초 고령사회를 앞둔 지금부터 당장 준비를 시작해야한다.”
고 강조했다.
지난달 한국을 찾은 쿠르트 뷔트리히 스위스 취리히 연방공대 교수(2002년 노벨 화학상 수
상자)도 “골다공증이나 알츠하이머병도 노화 현상으로 여겨졌던 때가 있었다.
그동안 간과됐던 근 감소 증에 대한 연구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출처: 송경은 동아사이
언스 기자>
- 좋은 글 중에서 -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늙어가면서 지켜야할 건강(健康) 상식(常識)들 (0) | 2018.12.23 |
---|---|
나이 듦에 대한 오해(誤解)와 진실(眞實) (0) | 2018.12.18 |
건강(健康)하게 살 수 있는 24가지 건강비법(健康祕法) (0) | 2018.12.17 |
빈속에 먹으면 안 되는 음식(飮食)/빈속에 먹으면 좋은 음식(飮食) (0) | 2018.12.14 |
혈액(血液)을 맑게 해주는 생활요법(生活要法)과 음식(飮食) (0) | 2018.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