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사(居士)와 처사(處士)
우리말에 대사(大師)와 선사(禪師)라는 말이 있지요
대사(大師)는 한마디로 큰 스승을 일컷는 말이고
선사(禪師)는 일반적으로 선정(禪定)에 통달한 승려를 부르는 호칭이지요
조선시대 때에는 무학대사를 비롯하여 사명대사와 서산대사 등이 있었으며
선사(禪師)또한 수월선사, 만공선사, 경허선사 등 수많은 선사들이 있었지요
그런데 대사와 선사의 한단계 아래에는 거사(居士)와 처사(處士)도 있어요
거사(居士)는 통상 남자 신도를 뜻하는 말로서 의미가 매우 깊어요
<불교학대사전> 에는 “범어를 음역한 것으로 장자(長者), 가주(家主), 재가(在家)라고 변역한다” 면서
“출가하지 않고 집에 있으면서 불교에 귀의한 남자를 일컫는다” 고 설명하고 있지요
중국 송나라 고승 목암선향(睦庵善鄕) 스님이 편찬한 <조정사원(祖庭事苑)>에는
“네 가지 덕을 갖춰야 거사(居士)라 일컫는다”했어요
△벼슬 얻기를 바라지 않는 이(不求仕宦)
△욕심을 없애고 덕을 쌓은 이(寡慾蘊德)
△재물을 모아 크게 부유한 이(巨財大富)
△도를 닦아 깨달음을 얻은 이(修道自悟) 라고 구체적으로 밝혀 놓았지요
또 <보살행경(菩薩行經)>에서는 거사에 대해
△재물을 모은 사람(居財之士)
△집에 거주하는 사람(居家之士)
△불법에 머무는 사람(居法之士)
△산에 사는 사람(居山之士) 이라고 적시해 놓았어요
이처럼 거사라는 단어가 갖고 있는 의미는 크고 넓다 할수 있지요
역사를 돌아보면 인도의 유마거사(維摩居士), 중국의 방거사(龐居士)
한국의 부설거사(浮雪居士) 등
재가불자(在家佛者)로 신심(信心)이 깊은 이들이 많았어요
이처럼 거사의 의미는 아무나 범접할수 없는 심오함이 있지요
그러나 처사(處士)라는 의미는 다르지요
모든 신분을 망라하여 남자 신도를 부르는 대표적인 용어가 처사(處士)이지요
국어사전에는 “벼슬을 아니하고 초야에 묻혀 사는 선비”라고 기록되어 있어요
홍법원에서 발간한 <불교학대사전>에도
“세파의 표면에 나서지 않고 조용히 야(野)에 파묻혀 사는 선비”라고 설명하고 있지요
부산대 출판부에서 펴낸 <불교ㆍ인도사상사전>도 비슷하지요
경인문화사에서 나온 <불교용어사전>에는
“직(職)이 없는 자. 낭인(浪人)”이라고 해설해 놓았어요
이렇듯 대부분의 사전이 세상 일에 관여하지 않고
조용히 묻혀 지내는 이를 처사(處士)라고 규정하고 있지요
처사(處士)라는 단어 속에는 현실에 적응하지 못한채 할일 없이
세월을 보낸다는 부정적인 의미도 포함되어 있어요
그래서 거사보다는 처사라는 말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지도 몰라요
부정적인 의미가 느껴지는 처사보다는 불교적이고 깊은 뜻을 지닌 거사로 불리는것이 좋겠지만
거사라는 명칭에는 반드시 ‘거사의 자격’이 따름으로 해서 섯불리 거사라 칭해서는 안될것 같아요
'일반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발백중(百發百中)과 과유불급(過猶不及) (0) | 2019.05.30 |
---|---|
부부의 날 (0) | 2019.05.28 |
고궁의 재산적 가치 (0) | 2019.05.15 |
사주팔자(四柱八字)란 어떤 것일까? (0) | 2019.05.15 |
습관적으로 저지르는 8가지 과오 (0) | 2019.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