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인과 마누라
부인이란 말은 남의 `아내'를 다소 높여 이르는 말이지요
주로, 상대가 아랫사람이거나 비슷한 연배일때
그의 아내를 대접하여 이르는 말인데 "자네 부인은 안녕하신가?"라고 높여주는 말이지요
그런데 수많은 방송사극 영향탓인지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아내를 가리켜 말할때 ‘부인’ 또는 ‘우리 부인’이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어요
사극에서는 사대부 집안의 남자들이 말할때
‘부인’이라고 하는 것을 볼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호칭어나 지칭어로 사용했던 것이지요
그런데 현대어에서는 ‘부인(夫人)’이라는 말은 ‘남의 아내를 높여 이르는 말’이지요
그래서 보통 ‘부인께서는 안녕하시지요?’ 또는 ‘저분이 사장님 부인이십니다.’ 이렇게 표현하고 있어요
따라서 자기의 아내를 다른 사람에게 가리켜 말 할때에는 ‘부인’이라고 표현해서는 안되는 것이지요
일반적으로 자기의 아내를 가리켜 말할때는
‘그사람, 집사람, 안사람’ 또는 ‘아내’나 ‘처’와 같은 표현을 사용해야만 하고
아이가 있는 경우에는 ‘OO 엄마’와 같이 표현하는것이 정도(正道) 이지요
예를들면 남자를 지칭할 때 '남정네, 남진, 남편, 사나이, 총각' 등이 있고
여자를 지칭 할때에는 '아내, 여편네, 마누라, 처, 집사람, 계집, 부인, 처녀등 꽤나 많아요
이들이 어떻게 쓰인 것인지는 대개 알려져 있지만
그 어원들을 아는 분들이 많지 않은것 같아 여기에 몇가지를 소개 올려 볼께요
아내라는 말은 아내(문화어: 안해)는 혼인관계에서의 여성을 이르는 말이지요
처(妻) 또는 부인(婦人 ; 지어미)이라고도 하지요
한국에서 아내, 마누라, 또는 부인(婦人)은 결혼한 남성 배우자가 상대 여성을 일컫는 말인데
남의 아내를 말할때는 부인(婦人)으로 부르고
남에게 자신의 아내를 말할 때는 처(妻), 아내, 집사람, 지어미로 불러야 하지요
최근에는 '와이프'(wife)란 영어 호칭도 많이 사용하고 있어요
그러나 남편에게 '허스밴드'(husband)라고 부르지는 않지요
아내의 어원은 "안해"이지요 조어구조는 안(內)+해이며, "안"은 안쪽 특히 집의 안쪽을 의미하고
"해"는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소유격으로서 "것"의 의미이지요
처용가에서 사용된 "둘은 내 해엇고, 둘은 뉘 해언고"라는 표현이 대표적이지요
"해"는 현대에는 자주 쓰이지 않지만 경상도지방 사투리 표현 중
"네 것이다"라는 의미의 "니 해라"에서 보듯이 아직도 사용되고 있어요
다른 주장으로, 조어구조를 안ㅎ(內)+에(처격조사)로 보며 여기서의
"에"는 "쪽"의 의미를 가지기 때문에
"아내"는 '안쪽'이라는 장소를 나타내었다고 볼수 있지요
또 다른 주장으로는"해"가 사람이나 물건을 말할 때 쓰이던 접미사라는 것이지요
여기서의 "해"는 사람을 의미하는데 즉 '안사람'이라는 뜻이지요
결국 "아내"는 "(집) 안쪽의 것", "(집) 안쪽" 또는 "(집) 안 사람"이라는 표현에서
현재 가정주부를 표현하는 가장 대표적 단어로 발달해 왔어요
아내의 어원을 "집 안의 해(태양)"로 주장하는 의견들이 있으나 이는 어불성설(語不成說)이지요
'안'은 '밖'의 반의어이고 '-해'는 사람이나 물건을 말할때 쓰이던 접미사 였지요
그러므로 그 뜻이 '안 사람'이란 뜻이 되지요
그래서 지금도 '안사람'이란 말을 쓰고 있는 것이지요
거기에 비해 남자는 '바깥사람, 바깥분, 바깥양반' 등으로 쓰이고 있어요
'부부'를 '내외(內外)'라고 하는 것이 그것을 증명해 주고 있는 것이지요
'여편네(女便)'는 한자어이지요.
'여편'에다가 '집단'을 뜻하는 접미사 '-네'를 붙인 것이지요
어느 한량께서 혹시 남편의 '옆'에 있어서 '여편네'가 아니냐고 물으신 적이 있지요
즉 '옆편네'가 '여편네'가 된것이 아니냐는 것이었어요
어떤 한량께서 그렇게 말했다는 것이지요
그렇게 되면 남자를 뜻하는 '남편'은 도저히 그 뜻을 해석할수 없어요
'여편네'와 '남편'은 서로 대립되는 관계이지요
그럼 '마누라'는 무슨 뜻일까요?
지금은 남편이 다른 사람에게(그것도 같은 지위나 연령에 있는 사람에게)
자신의 아내를 지칭할때나 또는 아내를 '여보! 마누라' 하고 부를 때나
다른 사람의 아내를 낮추어 지칭할때(예를 들면 '주인 마누라' 등) 쓰이고 있지요
한마디로 '마누라'는 원래 '임금이나 왕후를 일컫는 극존칭 이었지요
우리나라 말에는 남성이나 여성을 지칭하는 말이 여럿 있어요
남성과 여성을 지칭하는 말도 그 사람이 혼인을 했는지의 여부에 따라
그리고 그 사람이 어떠한 벼슬을 했는지에 따라 또 누가 부르는지에 따라 각각 다르게 지칭되었지요
원래'마누라'는 '마노라'로 쓰이었는데 '노비가 상전을 부르는 칭호'로
또는 '임금이나 왕후에게 대한 가장 높이는 칭호'로 사용되었던 것이지요
그러니까 극존칭으로서 높일 사람이 남자든 여자든 상관 없이
그리고 부르는 사람이 남자든 여자든 상관없이 부르던 호칭 이었어요
오늘날 지위가 낮은 사람이 그 웃사람을 '마누라'라고 부르거나
대통령이나 그 영부인을 '마누라'라고 부르면 어떻게 될까요?
큰 싸움이 나거나 국가원수 모독죄로 붙잡혀 갈일이 아닌지 모르겠어요
그런데 왜 이것이 아내의 호칭으로 변화하였는지는 아직 명확히는 알수 없으나
남편을 '영감'이라고 한 것을 생각하면 이해할수 있을 꺼에요
원래 '영감'은 '정삼품 이상 종이품 이하의 관원'을 말하는 것이었지요
얼마전까지만 해도 판사나 검사를 '영감님'으로 부르기도 했는데
이것은 옛날 그 관원의 등급과 유사해서 부르게 된 것이지요
아마도 옛날부터 남편보다 아내를 더 높여서 불렀던 모양이에요
남자는 기껏해야 '정삼품'으로 생각했는데 아내는'왕이나 왕비'로 생각했으니까요
이렇게 해서 '마누라'와 '영감'은 대립어가 된 것이지요
왜 늙지도 않은 남편을 '영감'이라고 불렀을까를 의심하셨던 분은 이제 그 의문이 풀리셨을 꺼에요
옛날 유행가 중에 '여보! 마누라, 왜 불러?' '영감, 왜 불러?' 하는 가사가 기억 나지요?
사실 부인이라는 말보다는 마누라 라는 말이 더 극존칭인데
어느날 부터인가 마누라는 말은 끝없이 추락하여 천(賤)해 보이기 까지 하지요
앞으로 여자분들은 누가 '마누라'라고 부르면
극존칭어니 나무라지 마시고 웃으면서 즐겁게 대답하시기 바래요
'일반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술 구분하는 방법 (0) | 2019.06.10 |
---|---|
역사상 최악의 실수들 (0) | 2019.06.07 |
정욕(情欲)과 탐욕(貪慾) (0) | 2019.06.02 |
돈에서 나오는 힘 (0) | 2019.06.01 |
백발백중(百發百中)과 과유불급(過猶不及) (0) | 2019.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