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신불립(無信不立)
무신불립(無信不立) 이란 고사성어(故事成語)가 있어요
없을 무(無), 믿을 신(信), 아닐 불(不), 설 립(立)자를 쓰지요
이는 "믿음이 없으면 설수가 없다"는 뜻인데
"믿음이 없으면 살아갈수 없다"는 의미이지요
이는 논어(論語) 안연편(顔淵篇)에 있는 말로서
공자의 제자인 子貢(자공)이 정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이냐고 물었을때
공자는 족식(足食), 족병(足兵), 민신(民信)이라 답하였지요
즉 안보와 경제 그리고 신뢰가 중요한 것이라고 답한 것이지요
그런데 여기서 한가지를 버려야 한다면 먼저 족병(足兵)이라 했고
다음은 족식(足食), 최후까지 지켜야 하는 것은 민신(民信)이라 했어요
다시말해 공자의 제자였던 자공(子貢)이 공자에게 정치에 대하여 묻는 장면이 나오지요
“나라를 다스리는데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입니까?” 하고 물으니
공자는 정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세 가지라고 답하였어요
“첫째는 먹는것, 즉 경제다(足食)
둘째는 자위력, 즉 군대이며(足兵)
셋째는 백성들의 신뢰다(民信之)“ 공자가 말하는 경제, 국방, 사회적 신뢰는
요즘 정치에서도 빠질수 없는 조건이지요
자공(子貢)이 다시 물었지요
“이 세가지 중에서 부득이 하나를 뺀다면
어느것을 먼저 빼야 합니까?” (子貢曰 必不得己而去 於斯三者 何先)
공자는 군대를 먼저 빼라고 했어요(去兵)
또 자공이 다시 물었지요
“또 하나를 부득이 뺀다면 어떤 것을 먼저 빼야 합니까?” (必不得己而去 於斯二者 何先)
공자는 경제를 빼라고 하였지요(去食) 그리고 그 이유를 이렇게 설명하였어요
남은것은 민신(民信) 즉 신뢰(信賴)인데 “옛날부터 사람은 어떤 방식으로든 죽어 왔다.
그러나 백성들의 신뢰가 없으면 국가와 조직의 존립은 불가능한 것이다.
“ 인류 역사는 어떤 경우에도 결국 죽음으로 이어져 왔지요 배가 고파서 죽고,
전쟁 때문에 죽고, 자연재해가 일어나서 죽는 것은 인류가 어쩔수 없이 당면한 문제였지요
그러나 한 국가와 조직이 마지막까지 존립할수 있었던 것은
바로 신뢰(信賴) 때문이었어요
크든 작든 회사나 단체도 마찬가지 이지요
리더에 대한 조직원들의 신뢰는 마지막까지 그 조직이 존립할수 있는 기반이 되는 것이지요
그래서 신뢰(信賴)는 조직의 생존을 위해서 마지막까지 지켜야 할 덕목이지요
회사는 고객의 신뢰, 직원의 신뢰, 사회의 신뢰, 주주의 신뢰, 협력업체의 신뢰가 있어야 하며
어느 한곳이라도 신뢰가 무너지면 존립기반이 흔들리는 것이지요 그
래서 한 조직이 살아가기 위해서는 믿음이 가장 중요하다 했어요
그러나 믿음 즉 신뢰(信賴)는 어디까지나 법을 바탕으로 해야 하지요
법은 밝은사회를 만들기 위해 그 공동체 구성원들끼리 머리를 맞대고 만든 것이지요
법은 구성원끼리의 신뢰와 대인 관계에서의 신뢰가 있어야 하고 신용이 있어야 하지요
법을 집행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평등(平等)이지요
내편은 가볍게 적용하고 네편은 무겁게 적용하면 신뢰가 무너지지요
어느 한 군데라도 부실하면 조직이 삐걱거리고 종래에는 와해(瓦解)되고 마는 것이지요
공정한 재판, 공정한 집행만이 법치주의(法治主義)를 실현할수 있는 것이며
이를 어기면 신뢰가 무너지고 조직또한 붕괴(崩壞) 될수밖에 없어요
그래서 인간관계나 작은 조직도 법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만 하는 것이지요
더구나 국가는 말할 필요도 없지요
'일반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족불욕(知足不辱) 지지불태(知止不殆) (0) | 2019.11.06 |
---|---|
생선회와 사시미 그리고 와인 (0) | 2019.11.04 |
수기치인(修己治人)과 수신제가(修身齊家) (0) | 2019.10.31 |
제례(祭禮) 절차 (0) | 2019.10.30 |
과부(寡婦) (0) | 2019.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