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글모음

심여수(心 如 水)

하라배 2018. 1. 12. 18:23

                

    심여수(心 如 水)

    심여수(心如水)란 마음은 물과 같다는 뜻이지요 그러니까 마음을 항상 물과 같이 하고 물처럼 살라는 말이지요 심여수란 말과 짝을 이룬 지여석(知如石)이란 말도 있어요 "지여석 심여수(志如石 心如水) 뜻은 돌처럼 굳게 가지고 마음은 물처럼 유연하게 가지라"는 뜻이지요 물은 생명의 근원으로 그 뜻은 노자 도덕경 8장의 상선약수(上善若水)에 집약되어 있어요 "가장 으뜸이 되는 선(善)은 물과 같다" 이지요 "상선약수(上善若水) 최상의 선은 물과 같으니 수선리만물이부쟁(水善利萬物而不爭) 물은 만물에게 이로움은 주지만 다투지 않으며 처중인지소악(處衆人之所惡) 뭇사람이 싫어하는 낮은곳에 머므니 고기어도(故幾於道) 그러므로 물은 도(道)에 가깝다" 물은 공평하고 완전하고 본질을 잃지 않으며 겸손하지요 물의 성질이 이러하니 우리의 마음도 물을 닮아 간다면 더없이 좋은 것이지요 심여수 같은 삶을 살아 간다는것 새로운 세상이치를 깨닮는것이 아닐런지요? 그럼 여기서 심여수(心如水)에 대한 글을 올려볼께요 ***************************** 햇빛같이 밝고 연꽃과 같이 맑은 생각으로 오늘의 문을 열고 날마다 기쁜 마음으로 살아있음에 늘 감사하며.. 같은 물이라도 뱀이 마시면 독이 되고 젖소가 마시면 우유가 되지요 똑같은 종이도 생선을 싸면 비린내가 나고 향기를 싸면 향내가 나지요 독과 비린내는 버리고 우유와 향기가 되어 나의 생활이 이웃에게 믿음직한 벗이 되고 가정은 더욱 아름답게 빛나고 행복한 삶이 되었으면 하네요 이것이 심여수(心如水)의 마음가짐 이지요 태산이 안개에 가렸다고 해서 동산이 될수는 없고 참나무가 비에 젖었다고 해서 수양버들이 될수 없듯이 또한, 걸레를 빤다고 해서 행주가 될 수 없듯이 여름에 덥지 않고 고드름이 얼면 인류의 큰 재앙이 오게 되지요 파리, 모기가 귀찮게 한다고 해서 인류에 없으면 사람을 더 괴롭히는 곤충이 있을 것이니 자연의 섭리에 순응하며 살아가는 지혜가 필요 하지요 이것이 자연의 이치에 순응하는 심여수(心如水)의 자세이지요 ******************************************************* 오만과 방자한 마음은 휴지통에 버리고 겸손과 사랑하는 마음을 키우면 주변이 모두 나를 사랑해주는 세상이 되지요 늘 부족한 마음을 꼭 재물이 아닌 여유로움과 배려 사랑으로 채워 가는 삶을 만들고 이웃을 만나면 싱긋이 눈인사라도 먼저 던지면 상대에게선 해바라기 같은 웃음을 선사받게 되지요 좋은 친구 한 사람 만나는 것이 일생에 다시없는 축복이고 행운이며 성공이라면 좋은 친구는 지위가 높은 친구가 아니라 인생의 동반자이며 말이 통하는 친구이지요 지위나 성공을 보고 찾아온 사람이 아니라 처음부터 꿈을 함께 하며 미지의 먼 길을 같이 걸어가는 사람입니다 그러므로 좋은 친구는 서로 떨어져 있어도 마음이 통하고 함께 있으면 더욱 빛이 나고 서로에게 행복을 만들어 주지요 오랜 친구가 좋은 이유 중 하나는 그대 앞에서는 바보가 되어도 흉이 되지 않고 다소 부족하고 미천해도 모두 덮어주는 사람이기 때문이지요 이것이 심여수(心如水)의 마음이지요 ***************************************************** 많이 가진 자의 즐거움이 적게 가진 자의 기쁨에 못 미치고 많이 아는 자의 만족이 못 배운 사람의 감사에 못 미치기도 하지요 진실을 보게 되므로 잘못을 저지르지 않고 잘못을 저지르지 않으므로 악업을 짓지 않고 선한 일만을 짓게 되어 이상적인 삶을 살수있는 것이지요 위대한 사람은 두 개의 마음을 지니고 있다고 하지요 하나는 고통으로 아파하는 마음이고 다른 하나는 그것을 인내하는 마음이지요 승자는 새벽을 깨우고 패자는 새벽을 기다린다고 하지요 출발도 하기 전에 계산부터 하는 사람은 패자의 모습이지요 욕망은 채워지는 법이 없어요 그것은 본성으로 채워지는 것이 아니지요 아주 작은 욕망은 채워질수도 있으나 하지만 또 다른 욕망이 몇 배로 생겨 나지요 욕망이라는 것은 한번 그것을 성취하면 결코 멈출수 없는 썰매와 같은것이지요 그러나 당신이 이를 이해하게 되면 바로 지금이라도 욕망은 멈출수 있는 것이지요 욕망이 생기고 없어지는 것은 우리의 마음 가짐에 있는 것이지요 이와같이 마음가짐을 물과 같이 하란뜻이 "심여수(心如水)"이지요 ********************************************** 남을 탓하는 태도나 교만한 마음가짐은 자신의 인간적인 관계마져도 원만치 못하게 만들지요 반대로 겸손한 마음으로 솔선수범하는 자세는 누구에게나 인정을 받게 되며 마음을 비우고 모든 것을 받아들이는 자세를 보이면 그릇이 큰 인간으로 평가받게 되는 것이지요 이것이 곧 "심여수(心如水)의 마음가짐"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