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

가슴에 새겨야 할 지혜(智慧)

하라배 2018. 2. 22. 12:53

                                                                    가슴에 새겨야 할 智慧|

가슴에 새겨야 할 智慧(지혜)로운 말들

사람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繼續(계속) 말을 하는데

어떤 學者(학자)硏究(연구)에 따르면

한 사람이 平生(평생) 5百萬(백만) 마디의 말을 한다는 것이다.

原石(원석)도 갈고 다듬으면 寶石(보석)이 되듯

말도 갈고 닦고 다듬으면 寶石(보석)처럼 빛나는 藝術(예술)이 된다.

 

같은 말이라도 때와 場所(장소)를 가려서 해라.

그 곳에서는 히트()이 여기서는 騷音(소음)이 된다.

已往(이왕)이면 多紅(다홍)치마다.

말에도 溫度(온도)가 있으니 썰렁한 말 代身(대신) 화끈한 말을 써라.

自己(자기)가 하고 싶은 말에 () 올리지 말고

그가 듣고 싶어 하는 말을 하라.

 

입에서 나오는 대로 말하지 말라.

체로 거르듯 곱게 말해도 不良率(불량률)은 생기게 마련이다.

相對方(상대방)을 보며 말하라.

눈이 맞아야 마음도 맞게 된다.

豐富(풍부)例話(예화)를 들어가며 말하라.

例話(예화)는 말의 맛을 내는 훌륭한 天然(천연) 調味料(조미료)이다.

 

() 한 말을 두 () 다시 하지를 말라.

듣는 사람을 지겹게 하려면 그렇게 하라.

일관성 있게 말하라.

믿음을 잃으면 眞實(진실)도 거짓이 되어 버린다.

 

말을 獨占(독점) 말고 相對方(상대방)에게도 機會(기회)를 주어라.

對話(대화)一方通行(일방통행)이 아니라 雙方交流(쌍방교류).

相對方(상대방)의 말을 끝까지 들어줘라.

말을 자꾸 가로채면 돈 빼앗긴 것보다 더 氣分(기분) 나쁘다.

 

내 생각만 옳다고 생각하면 큰 誤算(오산)이다.

相對方(상대방)意見(의견)도 옳다고 받아들여라

죽는 소리를 하지 말라.

죽는 소리를 하면 天下壯士(천하장사)도 살아남지 못한다.

 

相對方(상대방)이 말할 때는 熱心(열심)傾聽(경청)하라.

地方放送(지방방송)自身無識(무식)함을 나타내는 信號(신호).

不平不滿(불평불만)을 입에서 꺼내지 말라.

不平不滿(불평불만)不運(불운)同業者(동업자).

 

裁判官(재판관)이 아니라면 是是非非(시시비비)를 가리려 말라.

옳고 그름은 時間(시간)判決(판결)한다.

눈은 입보다 더 많은 말을 한다.

입으로만 말하지 말고 表情(표정)으로도 말을 하라.

條理(조리) 있게 말하라.

展開(전개)가 잘못되면 ()쪽이 西()쪽 된다.

 

결코 남을 批判(비판)하지 말라.

남을 감싸주는 것이 德望(덕망)있는 사람의 態度(태도).

編輯(편집)하며 말하라.

雰圍氣(분위기)에 맞게 넣고 빼면 次元(차원) 높은 藝術(예술)이 된다.

미운 사람에게 各別(각별)()하여라.

各別(각별)하게 ()해주면 敵軍(적군)我軍(아군)이 된다.

 

남을 批判(비판)하지 말라.

남을 ()해 쏘아올린 화살이 自身(자신)의 가슴에 命中(명중)된다.

재미있게 말하라.

사람들이 돈 내고 劇場(극장)가는 것도 재미가 있기 때문이다.

누구에게나 ()한 말로 氣分(기분) 좋게 해주어라.

그래야 좋은 ()波長(파장)周圍(주위)를 둘러싼다.

 

相對方(상대방)이 싫어하는 말을 하지 말라.

듣고 싶어 하는 얘기하기에도 바쁜 世上(세상)이다.

말에도 맛이 있다.

입맛 떨어지는 말을 하지 말고 감칠맛 나는 말을 하라.

 

또박또박 알아듣도록 말하라.

속으로 웅얼거리면 念佛(염불)하는지 ()하는지 남들은 모른다.

뒤에서 險談(험담)하는 사람과는 가까이 말라.

모진 놈 옆에 있다가 벼락 맞는다.

 

올바른 생각을 많이 하라.

올바른 생각을 많이 하면 올바른 말이 나오게 된다.

否定的因(부정적인) 말은 하지도 듣지도 ()하지도 말라.

否定的因(부정적인) 말은 不淨(부정) 타는 말이다.

 

모르면 理解(이해)될 때까지 열 ()이라도 물어라.

묻는 것은 缺禮(결례)가 아니다.

밝은 音色(음색)을 만들어 말하라.

듣기 좋은 소리는 音樂(음악)처럼 아름답게 느껴진다.

 

相對方(상대방)을 높여서 말하라.

말의 禮節(예절)은 몸으로 하는 禮節(예절)보다 윗자리에 있다.

稱讚(칭찬), 感謝(감사), 사랑의 말을 많이 使用(사용)하라.

그렇게 하면 사람이 따른다.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꼭 만나야 할 10가지 유형의 사람   (0) 2018.03.04
恒常(항상) 準備(준비)하는 삶  (0) 2018.02.22
기회를 잡은 빌게이츠  (0) 2018.02.15
종이의 역사  (0) 2018.02.15
기회를 잡자  (0) 2018.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