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화(菊花) 이야기 ♡
가을의 깊은 맛은
국화(菊花) 향기에서 온다고 했던가요?
요즘 국화가 만발하여 은은한 향기와 함께 아름다움을 자아내고 있어요
국화(菊花)는 여름엔 잎새를 살피고
가을엔 꽃을 음미하며
낮엔 자태를 보고
밤엔 그림자를 보라 했지요
국화(菊花)는 동양에서 재배하는 관상식물 중 가장 역사가 오랜 꽃이며
매화 · 난초 · 대나무와 함께 일찍부터 사군자의 하나로 지칭되어 귀히 여겨왔어요
뭇 꽃들이 모두 사라진뒤 차가운 서리를 맞으며 홀로 피는 국화의 모습에서
우리 선인들은 고고한 기품(氣品)과 절개를 지키는 군자(君子)의 모습을 보았지요
가을은 울긋불긋 물들어가는 단풍도 아름답지만
그윽한 향기를 피워내는 국화꽃이야말로 더할나위 없는 가을 낭만(浪漫)이기도 하지요
시골 아낙의 수수한 모습 같은 청초한 들국화에서 부터
화려한 여인의 풍만한 주름치마 같은 대륜국화에 이르기까지 ....
국화꽃은 우리나라, 중국 등 동북 아시아가 원산지이며
전세계에100 ~ 200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20여종이 있다 하지요
국화의 종류는 꽃의 형태에 따라 '스탠다드'와 '스프레이' 두가지로 나뉘는데
하나의 꽃대에 하나의 꽃을 피우는 스탠다드 국화는 흰색, 노란색이 많으며
장례식이나 행사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지요
그리고 하나의 꽃대에 여러개의 꽃을 피우는 스프레이국화는
보통 꽃꽃이나 꽃다발용으로 많이 사용되며 국화 작품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어요
국화는 오랜세월 개량되어 꽃의 지름에 따라
18cm 이상인것을 대륜(大輪),9cm 이상인 것을 중륜(中輪)
그 이하인 것을 소륜(小輪)이라 하며 꽃잎의 형태에 따라 품종을 분류하기도 하지요
그런데 전국 각지의 산과 들에 피어나는 가을꽃을 "들국화"라 부르는데
사전적인 용어로 "야생하는 국화과 식물의 꽃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라 하지요
실제로 '들국화'라는 식물명이 따로 있는것이 아니고
가을철 향기 그윽하게 피어나는 야생의 국화과 식물들을 통칭(統稱)하는 말이지요
들국화는 크게 4종류로 나뉘는데 벌개미취류,쑥부쟁이류,구절초류,개미취류로 나누고 있어요
지구상에 존재하는 식물의 절반 이상이 국화과에 해당한다 해도 과언이 아니지요
그래서인지 가을 야생화들 대부분의 꽃모양이 국화꽃과 비슷한것 같아요
보통 국화의 꽃말은 평화(平和)와 지혜(智慧), 절개(節介) 등으로 알려져 있지만
꽃 색깔에 따라 꽃말을 다르게 부르고 있어요
노란색 국화는 '실망과 짝사랑'을 의미하며
붉은색 국화는 '나는 당신을 사랑합니다'라는 속뜻을 가지고 있지요
또한 흰색의 국화는 '성실과 진실, 감사'를 의미하는 꽃이지요
그런데 흰색꽃에는 죽움,슬픔의 의미도 있는데
흰색 국화꽃을 장례식장에 놔두면 저승사자가 하얀 국화꽃을 보고
그 사람을 하늘나라에서 편히쉬게 해준다는 속설(俗說)이 있어요
아주 오랜옛날에
패기넘치는 중국인(中國人) 청년이 청운의 푸른꿈을 안고 잘사는 나라 일본(日本)으로
유학길에 올랐어요
일본에 도착한 그는 음식점에서 밤낮없이 일을하며 돈을 벌어 고학(苦學)을 했지요
그 음식점에는 아주 예쁜 딸이 있었는데 그 딸은 꽃을 매우 좋아 했어요
두 사람은 꽃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나누었는데
그러다 보니 두사람은 사랑에 빠지게 되었지요
그러자 아버지는 가난뱅이 중국인이라는 이유로 둘의 사랑을 반대 했어요
그렇지만 졸업을 앞둔 청년은 중국에 돌아가 돈을 많이벌어 반드시 돌아올테니
그때까지 기다려 달라 했지요
그녀는 알았다고 굳게 손가락 걸고 약속하며 대신 돌아올때 나를위해
일본에서는 볼수없는 아름다운 꽃의 꽃씨도 함께 가져오라 했어요
청년은 중국으로 돌아가 일본에서 배운 신기술로 돈을 많이 벌어
약속대로 일본에 없는 국화씨를 가지고 돌아 왔지요
그러나 그 딸은 아버지의 강권(强勸)으로 벌써 다른 남자의 아내가 되어 있었어요
이 사실을 알고 가져온 국화씨를 둘이 사랑을 맹세했던 장소에 심으며 많은 눈물을 흘렸지요
“내가 중국에 가서 피눈물을 흘리며 돈을 모은 이유가 무엇인지 아시나요?
오로지 당신과 맺었던 사랑의 맹세 때문이었다오“
그러며 한없는 슬픔의 눈물을 흘렸는데
그 눈물이 국화씨에 떨어져 흰색 국화꽃이 피어났다 하네요
그래서 흰색 국화꽃의 꽃말은 성실,진실,순결,감사 라 하는군요
그러면서 그는 그 여인을 한탄하며 또 올었지요
“당신은 진심으로 날 사랑하지 않았던가요? 어찌 기다리지 않고 떠나 버렸단 말이오
내 사랑은 나만의 부질없는 짝사랑이었단 말인가요?“
그러며 가슴을 치며 통곡했는데 눈물이 또 다른 씨앗에 떨어 졌어요
그 씨앗에선 노란색의 국화꽃이 피어 났어요
그래서 노란색(황색) 국화 꽃말은 실망,짝사랑 이라 하네요
그러나 그 청년은 너무도 허망(虛妄)하여 가슴을치며 울고 또 울었어요
그렇지만 그 청년은 결심했지요
아버지의 강권에 못이겨 시집을 간 그 처자를 죽도록 사랑하겠노라고 ...
“나를 떠나간 당신이지만 어쩔수없이 남의 품에 안긴 당신이지만
나는 영원히 당신을 사랑하겠노라고 ...“
그러면서 피를 토하는 절규를 하며 마지막 눈물을 흘렸어요
그 눈물이 또 다른 씨앗에 떨어져 붉은 국화꽃을 피웠다 하는군요
그래서 붉은국화꽃은 “나는 당신을 죽도록 사랑합니다” 라 하네요
그래서 국화에는 애틋한 사랑이 숨어있고
이 사랑과 함께 예뿐국화 꽃이 중국에서 일본으로 전래되었다 하지요
그래서 그런지 시인 "서정주(徐廷柱)"는
한송이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소쩍새는 그리도 슬피 울었다고 했나봐요
또 한 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천둥은 먹구름 속에서
또 그렇게 울었나 보다고 했어요
국화꽃은 사군자의 하나인데
사군자(四君子)란 매난국죽(梅蘭菊竹)을 말함이지요
즉 매화와 난초 그리고 국화와 대나무를 이르는 말이지요
특별히 이들을 선택하여 덕(德)과 학식(學識)이 높은 사람의 인품(人品)에 비유하여
사군자라 한 이유는 그들이 뛰어난 아름다움이 있어서가 아니라
제 각각 높은 기상(氣像)과 품격(品格)을 지녔기 때문이라 하지요
그래서
사군자의 하나인 국화(菊花)는 인고(忍苦)와 절개(節槪)를 뜻하기도 했으며
고대 중국에서는 불로장수(不老長壽)를 의미하기도 했어요
**** 사군자의 하나인 국화(菊花) ...
![](https://t1.daumcdn.net/cfile/blog/244314505289D3B007)
▲ 대륜국화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s%3A%2F%2Fencrypted-tbn0.gstatic.com%2Fimages%3Fq%3Dtbn%3AANd9GcQ1OYd-Om5P1C9Biu4uYlnHV2jUMIyXVpiHm5FKGVPGk8woeUZy)
▲ 중륜국화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mblogthumb4.phinf.naver.net%2F20160930_223%2Fjoo5hk_1475227982495CIaKX_JPEG%2F16-09-30-13-17-16-135_deco.jpg%3Ftype%3Dw800)
▲ 소륜국화 ...
▲ 들국화류
모든 국화의 꽃말은 청결,청순,순결(정조),평화,절개,고결함 이지요
그러나 각기 꽃색깔에 따라 꽃말을 다르게 부르고 있어요 ...
▲ 노란색 국화 꽃말은 실망, 짝사랑 이라 하네요 ....
▲ 붉은색은 "당신을 사랑 합니다" 이지요 ...
▲ 하얀색 국화 꽃말은 성실,진실,순결,감사 라 하는군요 ...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s%3A%2F%2Fpds.joins.com%2Fnews%2Fcomponent%2Fnewsis%2F201610%2F30%2FNISI20161030_0012339804_web.jpg)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www.andongnews.tv%2Fnews%2Fphoto%2F201410%2F3044_7064_3020.jpg)
![](https://img1.daumcdn.net/thumb/R720x0.q80/?scode=mtistory&fname=http%3A%2F%2Fcfile4.uf.tistory.com%2Fimage%2F25401B3F58368B822A62A8)
▲ 국화꽃 축제 한마당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