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상식

명당자리 보는 법

하라배 2019. 12. 14. 14:51

명당자리 보는 법


풍수학은 원래 고대 중국에서 발생했다. 
그 오묘한 이치는 동양 철학에 기인한 것이며, 어디까지나 형이상학적(形而上學的)인
진리이기 때문에 역리학의 오묘한 이치를 깨닫지 못하고는 풍수학을 이해할 수 없다고
한다. 진나라 시대 대역학자인 주선도(朱仙桃)라는 분이 수산기(水山記)라는 책을 
펴냈는데, 이 책에서 명당자리 보는 비법을 밝혔다. 
당시 역학을 이해하지 못하는 많은 사람들은 신빙성이 없다고 믿으려 하지 않았으며 
이구동성으로 그를 미친 사람으로 따돌렸다고 한다. 
그러나 수산기가 신통하게도 잘 맞아들어가자 시황제는 수산기를 일반에게 공개하지 
못하게 했다. 왜나하면 수산기를 인용하여 왕이 나올 만한 명당자리에 일반이 묘를 
써 버리면 왕통이 무너질까 염려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아예 수산기의 저자 주선도에게 죄를 씌워 죽여 없애 버렸다고 한다.
그후 진나라가 망하고 한나라 시대에 와서 장자방이란 학자가 총오경과청낭정경을 
저술했는데 역시 억울한 누명을 쓰고 세상을 떠났으며, 또한 당나라에 와서도 
최성왕이 금낭경을 저술하였는데 이것을 황실에서만 대대로 응용했었다고 한다.

비단 주머니에 금낭경을 넣어두고 역대 황제가 대대로 물려받았기 때문에 일반에게는
그다지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 그런데 당나라 황제가 만약 민간 중에서 왕이 태어난다
면 구족을 멸하리라는 명령을 내렸던 것이 오히려 일반의 호기심을 자아내지 않았을까. 
결국 당나라 말기부터는 도학자들이 목숨을 내놓고 금낭경을 연구하고 또 자기 
나름대로의 풍수학을 정리하여 전파하게 되니, 그때부터 일반 대중도 널리 알게 
되었다고 한다. 우리 나라에는 삼국 시대에 역리학이 널리 전파되었다 하며, 이때부터 
풍수학자들이 많이 생겨나 궁궐터 성곽,혹은 가옥 묘지에 대한 비결을 저술하기에 
이르렀던 것이다. 이와 같이 풍수학설에 관한 연구가 활발해지자 일본에서도 
그 지상(地相)의 비결을 신통히 여기게 되었으며, 이 땅을 강점했을때는 13명의 역리
학자를 차출하여 소위 13인 위원회를 조직하고 이땅의 명당자리의 혈맥을 
끊어버렸는데, 예를 들어 명산이라면 그 명산 허리를 끊어 신작로를 낸다든가, 너무 
험준하여 지맥이나 산맥을 끊을 수 없으면 철봉을 수없이 박아 산의 혈맥을 끊는 
등 잔인 포학한 행동을 서슴치 않았던 것이다.

용어해설

◑현무(玄武) 
산의 정상을 뜻한다. 방향은 북쪽
백호(白虎) 
방향이 오른쪽
청룡(靑龍) 
왼쪽. 좌청룡 우백호라고 하는 지형의 한 형태를 말한다.
재혈난(裁穴難) 
산기운이 뭉처있는 지점. 매우 찾기 어려운 지점으로, 이곳만 제대로 찾아 묘지를 
마련하면 자손에게 음덕이 있다고 한다.
주작(朱雀) 
이 지점은 산들이 병풍처럼 빙 둘러쳐져 있어 바람을 막는 그 밑부분의 중심부로 
이 주작을 가로 질러 물이 흘러가야 산기운이 재혈에 뭉쳐있게 마련이라 한다.
물(水) 
병풍처럼 둘려쳐져 있는 산의 밑부분, 즉 산기운이 뭉쳐 멎을 수 있게 물이 흐르거나 
고여 있는 곳을 말한다.
석산(石山) 
흙이라고는 별로 없고 거의 암석으로 된 산을 말하는데, 이런 곳에 묘를 쓰면 집안이 
망한다.
지기(地氣) 
흙을 통해서 흐르게 마련인데, 흙이 없으므로 흐르지 못하고 흐르지 않으니 융합하지 
못한다. 돌과 뼈가 불편하게 융합되면 가운은 쇠한다.
과산(過山) 
산맥이 멈추지 않고 뻗어 있는 산을 과산이라 한다. 
지기는 본래 산세가 멈추는 곳에 뭉쳐 있게 마련인데, 산세가 뻗어 있으니 지기가 
멈출리 가 없다. 이런 산에 묘를 쓰면 패가 망신한다고 한다.
독산(獨山) 
산맥이 이어져 다른 산이 여럿 어울려 있지 않고 홀로 서 있는 산을 말한다. 
이런 산은 지기가 면면히 흘러 뭉치지 않고 지기 자체도 생겨나지 않아 산으로 
적합하지 않고 이런데 산소를 쓰면 자손이 끊겨 망한다. 
지기는 후강전응(뒤는 언덕,앞은 물)하고 중산환합(무리를 이은 산이 둘러쌈)하는
곳에 뭉쳐 있는데 홀로 있는 산은 지기가 있을리 없다는 것
동산(童山) 
초목이 없는 황폐한 산을 말한다. 
이런 산에서는 음양이 화합하지 않으니 지기가 생겨나지 않는 법이다. 
이런 황폐한 산에 묘지를 쓰년 집안이 빈곤하고 생계가 대대로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이 세상 모든 일이 음양 조화가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산이 있는곳에 물이 있어야 하고 흙이 있는 곳에는 초목이 있게 마련인데, 그렇지 
못하니 산기운이 지기(地氣)가 없고 그러므로 묘자리로 마땅치 않은곳이다. 
다시 말하면 산맥의 발원지를 찾아야 하고, 태(胎).정(定).순(順).강(强).포(包).장(藏)
등 6가지의 체가 순서대로 있는가를 살펴야 한다.
그리고 수구(水口)는, 들어오는 것은 보여도 출구(出口)는 보이지 않아야 한다 
아울러 산세는 다시 말하자면 병풍을 두른 것처럼 조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음택(陰宅) 
묘지를 뜻함. 산 사람은 양(陽)으로, 죽은 사람은 음(陰)으로 통한다. 
그러므로 죽은 사람의 집, 즉 묘지
양기(陽基) 
산 사람의 집 또는 도성(都城).읍촌(邑村)을 말함.
용(龍) 
땅의 기복(起伏)을 뜻한다. 
말하자면 산맥의 기복이 용과 같다고 하는 데서 비롯된 말

    맥(脈) 혹은 절(節) 
    지맥이나 산맥의 기복을 용이라 한다면 용신(龍身)에는 음양의 생기가 흘러야 하는
    것이다. 이 음양이생기는 사람의 몸에서 피가 도는 것과 같은데, 이 생기가 흐르는
    곳을 맥이라 한다. 
    혈(穴) 
    용맥(龍脈)중에서 생기가 뭉쳐 있는 곳이다. 
    즉 정기(精氣)가 있는 곳. 이곳을 혈이라 한다. 
    침구학에서 사람의 어느 부분을 찾아 침을 놓는 곳을 혈이라 하는 것과 같이 
    산세에서도 그런 혈이 있다. 
    사(砂) 
    혈(穴) 주위의 형세를 뜻한다. 
    이것은 지상술(地相術)이 전해 내려오면서 사(砂)라고 부른다. 
    국(局) 
    혈과 사를 합쳐 양기냐 아니면 음택이냐 하는 것을 국이라 하는데, 음택국이니 
    양기국(陽基局)이니 하는 것이다. 
    조산.종산(祖山.宗山) 
    넓은 의미로 내룡(來龍)중 그 혈에서 가장 멀고 높은 산을 조산(祖山)이라 하고, 
    가깝고 높은 산을 종산(宗山)이라 한다. 
    주산.후산(主山.後山) 
    내룡맥절(來龍脈節) 중혈 뒤에 높이 솟아난 산으로 대개 마을이나 묘지뒤에 있는 
    산을 뜻하며, 이런 산 밑에 마을이 있으면 마을을 진호(鎭護)한다는 의미에서 
    진산(鎭山)이라고 부른다. 
    입수(入首) 
    좁은 의미에서 내룡의 혈중(穴中)으로 들어가려고 하는 것을 입수(入首)라 한다. 
    혈.국을 용두(龍頭)가 들어간 곳으로 보는 것이니까, 이 용두가 마침내 들어가려고 
    하는 곳을 입수라 한다. 
    두뇌(頭腦) 
    입수와 혈과의 접합점(接合點)에서 좀 높게 솟아난 곳을 말하는데, 마치 용의 이마에 
    해당한다고 하여 두뇌라 한다. 
    성.사성(城.砂城) : 두뇌(頭腦)에서 소맥(小脈)이 일어나 혈 주위로 둘러 
    쳐진 것을 말한다. 
    명당(明堂) 
    이것은 혈의 앞(묘지)인 경우에는 무덤 앞, 집터인 경우에는 주건물(主建物) 앞에 
    해당되는 땅으로 청룡.백호에 둘러싸인 곳을 말한다. 
    명당에는 내명당(內明堂)과 외명당(外明堂)이 있는데, 내명당은 혈 바로 앞 평평한 
    곳을 말하며 "묘지에서는 묘판(墓板)이라는 곳이며, 집터인 양기(陽基)에 있어서는 
    주건물(主建物)의 앞뜰", 이 내명당에서 앞으로 좀 넓고 광대한 평지는 외명당이라 
    나누어 부른다. 이 명당이라고 하는 명칭은, 천자(天子)가 군신(群臣)의 배하(拜賀)를 
    받던 곳을 명당이라고 한 데서 비롯된 말이다. 
    득.수구(得.水口) 
    혈 또는 내명당의 양쪽에서, 또는 청룡.백호 사이에서 시작되어 흐르는 물의 
    발원처 (發源處)를 득(得)이라 하고, 그 물줄기가 그 용호(龍虎)와 서로 껴안는 
    사이를 흐르는 곳을 파(破) 또는 수구(水口)라 함
    지현(之玄) 
    내룡이 바로 입수로 옮겨지려 하는데 그 맥형(脈形)이 가지(之)자와 같거나 검을 
    현(玄)자와 같이 굴곡되어 뻗어 온 곳을 말한다. 
    미사(眉砂) 
    입수에서 두뇌를 거쳐 혈로 옮겨지는 조금 긴 둔덕 또는 판막상(辦膜狀)을 이룬 곳을 
    말한다. 그 모양에 따라 아미사(蛾眉砂).월미사(月眉砂).팔자미사(八字眉砂)등이 있다. 
    안산(案山) : 혈 앞에 사의 일종으로 좀 낮은 산을 말한다. 
    혈의 의안(倚案)이라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산.대산(朝山.對山) 
    혈 앞 사의 일종으로, 안산에 비해서 높고 큰 산. 마치 빈객(賓客)이 주인에게 절하는 
    것과 같고 신하가 임금에게 읍하는 것과 같으며, 자식이 부모를 받드는 것과 같고
    아내가 남편에게 순종하는 것과 같이 혈에 대하여 조공(朝供)하는 것과 
    같은 산을 말한다. 
    오성(五星) 
    산의 모양을 성(星).요(曜)로 부르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산형(山形)을 오행(五行)에 배(配)할때, 또는 구성(九星). 구요(九曜)에 배할 때 
    붙이는 이름으로 목성(木星) 의산이란 산형이 목형(木形).목체(木體)를 이룬 것을 
    말하며, 금성(金星)의 산이란 산의 형태가 금체(金體)에 흡사한 산을 말한다. 
    이것을 성(星)이라 부르는 까닭에 오행(五行)이 하늘에 있어서는 상(象)을 이루고, 
    땅에 있어서는 형(形) 을 이룬다는 천지상형(天地象形)의 상응(相應)하는 원리를 
    따른 것이다.

    ▶목성(木星)의 산 : 나무가 바로 선 것과 같이 솟은 산
    ▶화성(火星)의 산 : 불길처럼 뾰쪽하게 솟은 산
    ▶토성(土星)의 산 : 평편하고 벽돌 같은 산
    ▶수성(水星)의 산 : 꾸불꾸불하여 움직이는 물결과 같이 뻗은 산
    ▶금성(金星)의 산 : 산마루는 둥글고 아래는 넓어 마치 종을 엎어 놓은 것과 같은 산

    조종산(祖宗山)


    방위도 : 우선 자석으로 동서남북의 방향을 잡고서 본다.

    24방위표

    ▣陽局, 乾(北西),震(東),坎(北) ,艮(北東) . 
    ▣陰局, 坤(南西),巽(南東),離(北),兌(西) 
    묘소의 방향이 자좌(子坐)로 되어 있으면 고인의 머리쪽이 정북쪽으로 향하고 있다는 뜻으로, 
    우리가 생각하는 묘지의 방향은 정남향이 됩니다.

    ◑나성정설(羅星定說) 
    나성(羅星)이란 동서남북 주위에 솟아 있는 산을 말한다. 
    옛날 도시에 비하면 성곽과 같은 것이다. 
    부족함 없이 사방의 산이 높고 혹은 얕게 둘러 있음을 말함이니, 성곽이 곳에 따라 문이 있듯 
    나성에는 물이 들어오고 어느 쪽으로는 물이 나가는 수구(水口)도 있다.

    조안정설(朝案定說) 
    부조안(夫朝案)은 혈 앞에 있는 산을 말한다. 
    앞에 있는 산을 일러 안산이라 하며, 안산 뒤에 있는 산을 일러 조산이라 한다. 
    안산이 있으면 앞이 허하지 않고 수습이 되며, 주밀하여 사방이 단아하게 보이면 가히 좋다고 
    할수있다. 조산이 있은즉 더욱 당국(當局)이 빛을 발하니 조산과 안산을 겸비한, 가히 격을 갖춘
    산이라 하겠다. 간혹 조산은 있으나 안산이 없고, 안산은 있으나 조산이 없는 땅도 있으나, 
    크게 구애될 필요는 없다.

    논오성정형(論五星正形) 
    金,木,水,火,土의 다섯 가지 산이 있는데 그 형국에 있어서는 청아하고 둥글게 생긴 형체를 이루되
    금산체(金山體)라 하며 머리가 약간 둥글게, 그 체형이 헌출하게 솟은 형국을 목산(木山),줄기차게
    봉우리마다 파도처럼 나가다 머무르는 듯한 곡형(曲形)을 수산(水山), 산머리가 뾰쪽 솟아 
    충천(沖天)하는 듯한 형국을 화산(火山),사면이 후중(厚重) 하는 평평한 형체를 토산(土山)이라 
    하는것이다. 행룡 낙맥(行龍落脈)에 있어 오성(五星)에 천변만화 하는 양상이 혹은 상극으로 
    결혈 (結穴)되어 있음을 자세히 관찰하지 않으면 잘못 판단할 우려가 있다.

    금산(金山) 
    金은 맑고 부드러워 산형 역시 밝고 바르다. 
    그러므로 金星의 형체를 태양(太陽)이라 하며 나지막이 솟은 형체를 일러 태음(太陰) 이라 한다. 
    금성이 가지는 행룡낙맥(行龍落脈)에 있어서 많이 모이는 혈처(穴處)가 대개 봉(鳳)이 춤을 추듯,
    새가 나는 듯한 봉무 비도(鳳舞飛島)의 형국이다. 
    옛글에 "金星形體에 結穴處가 多生高形 혹은 娥眉之形 혹은 愧凸之形에 結穴 됨도 金星만이
    갖는 자연의 이치다. "하였다.

    목산(木山) 
    木星은 청수하면 높이 솟아 있어 겉으로는 강하고 안으로는 유하며, 마디마디가 결혈됨이 
    삼정혈(三停穴),통소형,일자목형,인형등에 낙맥되는 수가 많다. 발복(發福)에 있어서는 반드시 
    대귀(大貴)한 준걸(俊傑)이 나타나는 것이며 가히 장목성의 진득(眞得)이라 한다.

    수산(水山) 
    水星은 형체가 유하게 굴곡하며 그 성(性)이 변하여 바른 모양이 적고 그 형국이 굽음이 많아 
    행룡 낙맥에 있어서 용사(龍蛇)와 같은 결혈이 많으며 혹은 曲流之處 나 洋洋曲水에 낙혈됨이 
    있다. 혈처는 平地連脈에 가장 많으며, 그 氣가 은은하여 형체를 식별하기 어려우므로 세심히
    요찰해야 한다.

    화산(火山) 
    火形은 항상 위 끝이 好動하므로 祖宗의 산체가 높이 솟아 하늘을 찌르는 듯한 형세로 밑으로
    곱게 깔렸고, 형국이 비겸지류(남비비鎌之類)와 같아야 결혈처가 있는것이다. 
    체형이 수려하며 龍穴得局은 極品之地라 하겠다.

    대산(大山) 
    토형은 평평하여 그 형체가 순우(純厚)하며 행룡 낙맥이 있어서는 [冕流,玉屛,金書,誥軸]이다.
    이와 같은 형국에 결혈이 되며 혹은 각첨(角尖)의 유형에도 결혈이 되는 수가 있다. 
    혈처가 높이 있어서 진혈(眞穴)로 득지(得地)한다면 발음(發音)이 대개 청규하게 되고, 얕고도 
    작은 자리는 목민(牧民)의 관이 연출하고 토성이 이어 나갔으면 반드시 부국(富局)이라 하겠다.

    용신결혈상생(龍身結穴相生) 
    오성의 변화가 주산(主山)으로부터 결혈처까지 기복의 마디마디에 상생(相生)하여 결지(結地)되어
    있다. 반드시 부귀의 땅이요, 충효 예의의 자손이 속출하는 대지이다.

    용신결혈상극(龍身結穴相剋) 
    오성.용신이 주산으로부터 마디마디 상극되어 결혈되었으므로 반드시 재흉 환래하여 패가 
    망신하게된다. 자손 중 불충.불효.불의의 사람이 생기니 이른바 패망의 땅이라 하겠다.

    번화룡(번花龍) 
    행룡맥낙(行龍脈落)의 세가 거의 양편으로 가지를 놓고 달리는 것이 보통 산맥의 형태이다.
    이것을 일컬어 용이 갖춘 귀족(貴足)이라 하며, 지네발 이라고도 한다.
    번화룡(번花龍)이란 내룡(來龍)의 지각(枝脚)이 순하게 뻗지 않고 역으로 뻗어 있음을 말한다. 
    용신을 호위하지 않고 역폭한 형체를 말하는 것이다. 
    이런 형국에 재혈을 하면 패망한다는 것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겁살룡(劫殺龍) 
    행룡의 변화가 심하여 오행을 분별치 못하게 상생상극하며, 가다가 정맥을 이탈하여 산만 
    불수하며 겁맥탈기(劫脈奪氣)한 용신을 겁살룡이하 한다. 가히 대흉 대패의 땅이라 하겠다.

    원진수도(元辰水圖) 
    원진자(元辰者)는 혈암의 득수(得水)가 곧게 흘러나가는 것을 말한다. 
    수직직거(水直直去),수직무란(水直無亂) 등의 수로를 말하게 된다. 
    흔히 말하는 당문파(黨門破)라는 것이 이것이다. 
    속패(速敗),속망(速亡)하는 충격의 혈지(穴地)이다. 
    단 원진자라도 앞에 산이나 물을 얻어 산수가 만전횡란(灣轉橫蘭)하게 돌아 있다면 초년의 
    발음(發陰)이 없다. 또한 복기낙룡 입좌(伏起落龍入坐)의 격은 갖추어져 있으되 오직 물한줄기에 
    실격으로 결점이 있다면 인위작(人爲作)이라 축항제돈(築항諸墩)하여 재혈한다면 격을 갖추게
    되므로 대지가 되는 수가 많다. 
    여기에 산천 변화의 이(理)가 생하며 오행 변화의 화(化)가 있는 것이다.

    반도수도(反跳水圖) 
    형체가 미묘하고 삼방(三方)이 주밀하여 형국은 되었다 하더라도 흐르는 물줄기가 혈처를 
    배반도사(背反跳斜)하여 흘러 간다면 천어(千語) 호평이 일언의 가치가 되지 않는다.
    장후(葬後)반드시 속성 패산(敗産)의 땅이요 분산패주(敗走)하게 되니 음양의 산수 배합의 법이 
    아주 중요함을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된다.

    반포수도(反抱水圖) 
    수법(水法)에 있어 반포수는 간혹 있는 땅이다. 
    흔치 않으므로 혹은 만궁지형(灣弓之形)의 반대쪽에 있으나 때로는 홍국(洪局)으로 보는 데에도 
    있을수 있다. 반포수에 결혈이 되어 있다면 초년에는 약간 반복되지만 반드시 바뀌어 쇠망하게 
    되므로 역시 패망의 땅이다.

    백룡도(白龍圖) 
    내롱이 겹겹 개장(開帳)하며 개자중압(個子中押)하여 수려하고 단아하게 결렬됨을 말한다.

    생룡지도(生龍之圖) 
    용형의 변화가 망측하여 생룡됨이 사생으로 호술되어 횡룡(橫龍)이건 순룡(順龍)이건 회룡(廻龍)
    이건간에 용필(龍必) 요속기(要束氣) 진국(眞局)으로 되어 이기(理氣).생왕(生旺)하여 결렬되어 
    있음을 말한다. 어김없이 대발.대부.대귀(大發.大富.大貴)의 땅이라 하겠다.

    묘지의 풍치림(風致林)
    명당자리를 골라 묘를 썼으면 풍치를 돋울 나무를 묘지 주변에 심어야 한다. 
    묘지는 집과 연결된 곳이다. 산 사람의 집과 같아서 집을 풍치있게 꾸미려면 정원을 마련하여 
    가꾸듯 죽은 사람의 집(묘)도 풍치있게 가꾸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려면 정원에 꽃과 나무를 심듯 묘지 주위에도 꽃과 나무를 심어야 한다. 
    그러나 반드시 묘지로부터 10미터 밖에 심는다. 집에서도 나무 뿌리가 구들장 밑에 들어가지 
    않도록 조심하는 것와 같이 묘지에서도 마찬가지다. 
    나무 뿌리가 묘지로 파고들면 좋지 않다고 한다. 
    또한 10미터 밖에 심더리도 뿌리가 길게 뻗지 않는 종류로 사철 나무나 상록수가 좋을 듯하다. 
    물론 아카시아 따위의 나무는 뿌리가 길게 뻗기 때문에 묘지 주위에서 뽑아 버려야한다. 
    뿌리가 길게 뻗지 않는 꽃나무는 어떤 종류라도 심어 놓으면 죽은 이를 오래도록 즐겁게 
    할수 있을 것이다.

    명당자리의 풀이비결
    인걸은 지령(人傑地靈)이란 말이 있다. 
    잘난 사람도 나오고 못난 사람도 나오는 것은 모두가 산천의 수려한 기상과 둔탁한 기상에 
    의한 것이라는 애기이다. 산이 높고 물이 깊고 들이 넓으면 너그럽고 도량이 넓고 큰사람이 
    나오며, 산과 물이 좁아 협작하면 소견이 좁으며, 산이 험악하고 물이 탁하면 험하고 표독한 
    사람이 나오며, 산이 높고 물이 맑으면 그 동네가 윤택하여 부자가 많으며, 산천이 맑고 
    수려하면 얼굴조차 아름다운 법이다. 
    천을태을(天乙太乙)의 뾰족한 산이 구름 밖에 솟구쳐 있으면 벼슬이 법관에 오르고, 물러가는 
    문구멍을 짐승과 새 모습을 한 형국에 산과 바위가 감아 주면 한림학사가 나오는 법이요, 
    산 형국이 왼편에는 깃발이 날리는 듯하고 오른편에는 북이 울리듯 솟아 있으면 대장, 장신이 
    나올 자리요, 산세가 뒤에는 병풍을 친 듯하고 앞에는 장을 두어 막아주면 재상과 문신이 
    나올 땅이다. 작은 산이 위에는 뾰족하며 아래가 둥그스름한 형상을 은병(銀甁)이라 한다.

    이쯤 되면 석숭(石崇)같은 부자가 생겨나고, 산이 구부러져서 높고 낮음 없이 껴안은 것을 
    옥막형(玉幕形)이라 하는바 배도(裵度)같 이 귀하게 되는 명재상이 나올 땅이다. 
    상형세가 초승달처럼 가느다랗게 미인의 눈썹인 듯한 모양은 아미산(蛾眉山)이라 이르는데, 
    산형세가 이쯤 되면 딸이 귀하게 되어 왕후 아니면 귀비가 나올 땅이요, 
    천마의 형국이 남방에 위치하여 머리가 번쩍 들리고 몸통은 약간 낮아 평평히 나아가다가 
    꼬리가 되어 뚝 떨어지면 반드시 왕후가 나올 자리이다. 
    또 앞뒤 좌우로 기운차게 내려오면서 크고 작은 아름다운 봉우리가 천 봉우리 만 봉우리 
    호위한 것은 천궁녀의 기상이요, 앞뒤로 벌어진 낮은 산봉우리가 팔백형화(八百炯火)가
    떠오르는 듯한 자리는 모두 극위 극존한 제왕이 나타날 자리이다. 
    여러 산이 그치는데 진혈(眞穴)이 있고 여러 산이 모이는데 명당이 있는 것이다. 
    산체가 모두 등을져 달 아나면 인가파산이 되는 법이요, 한물이 기울어 흘러빠지면 관에서 
    물러서고 실직하게 되며, 산 형상이 어지러운 치맛자락 같으면 여자가 음분(淫奔)하고 물이 
    당국 안으로 꿰뚫어 나가면 자손이 절손되는 법이다. 뿐만 아니라 물의 조화 또한 중요하다.

                                                                     - 펌 글 -

'일반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탄절의 유래  (0) 2019.12.23
연지곤지 그리고 족두리  (0) 2019.12.21
만세( 萬歲)는 왜 세번 부를까?  (0) 2019.12.12
저승사자  (0) 2019.12.01
북망산과 망우산  (0) 2019.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