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상식

유학과 제례

하라배 2020. 3. 22. 11:23

유학과 제례


1.유학

  유학은 중국 춘추시대 사상가 孔子(B.C 552~479)의 가르침을 근본으로 하는 윤

  리학으로 공자가 죽은 후 그의 제자들이 공자의 가르침 즉 논어를 중심으로 후대

  에 까지 전해졌다. 이의 발달을 구분하면

① 제1유학(공자의 유학) : 공자의 가르침으로 仁을 최고 이념으로 한 修身, 齊家,

   治國, 平天下를 목표로 하는 정치학.

② 제2유학(주희의 유학) : 朱子學(性理學)

          공자 이후 약 1700년 후 송나라 시대 朱熹(1130~1200)에 의해 理와 氣

          에 의한 성리학이며 우리나라는 고려말 安珦에 의해 도입되었으며 조선

          조 임진왜란(1592~1598)이후 즉 17세기 중기 이후 李滉, 李珥에 의해

          정착되었다.

③ 제3유학(퇴계학) : 주자의 성리학이 우리나라에 정착

          성리학은 17세기 중기 이후 국민 생활에 깊이 침투되고 마치 종교적 형

          태로 고착화 되기도 했으나 이는 조선조의 당쟁을 초래한 遠因이 되기도

          하였다. 한편 똑같은 中華文化圈에 속한 일본, 베트남,티벹등은 유학을

          철학의 일면으로 받아들였으나 우리만은 종교적,意識的으로 몰입되었다.


2.제례

  忌祭祀는 孔子시대에도, 고려시대에도 없었으며, 중국 송나라때 일부 성리학자에

  의해 제사의 관행이 시작되었다. 실제로 주자의 家禮가 조선 사회에 정착된것은

  임진왜란을 겪은다음 일부 성리학자와 양반 사회를 중심으로 보편화 되었고 일반

  서민에게는 시행되지 않았고 17세기 중기 이후 일반화 되었다.

  오늘날 우리 생활에 깊이 침투된 祭禮의 근본인 경국대전은 세조때 집대성하고 

  예종 원년(1469)에 완성 된후 성종16년(1485)에 개정되었으며 여기 “奉祭”편에

  《 문·무관 6품이상은 3대(증조부모)까지 奉祭하고,7품 이하는 2대(조부모)까지

    奉祭하고, 서민은 다만 부모만 奉祭祀》 토록 규정되어 있다.


♢ 가정의례준칙 : 갑오경장(1894년)이후 약 80여년후 1973년 5월 17일 가정의례

   준칙이 선포된 후 약 30여년이 경과되었으나 어떤 부분은 復古되는 점이 있다.

♢ 상속과 제례 제도의 변화 : 17세기 중엽 이후부터 조상 제사는 長子 중심으로

   지내며 돌아 가면서 제사 올리지 말며, 재산의 분배는 嫡長子 위주로 하되 차등

   분배를 하며,제사때 딸, 사위를 참석시키지 말고 딸은 이때부터 出家外人이라는

   사고가 약300여년 전부터 내려오고 있다.


이상의 글은 아주 짧게 <유학과 제례>를 축약한 글이며 우리모두의 생각에는 유학

이 아닌 유교의 사상이 깊이 뿌리내려져 있다. 이는 빨리 개선되어야 하고 또 아주

빠르게 변화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