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상식

자랑스런 태극기

하라배 2017. 2. 10. 15:10

              


    ◇ 대한민국 태극기 ◇ 요즘 광복이후 처음으로 가장 많은 태극기가 서울시내를 뒤덥고 있어요 정확히 말해 광화문 앞에서는 촛불이 불타고 있고 대한문 앞에서는 태극기가 휘날리고 있지요 참 묘한 현상이지요 우리가 어쩌다 해외에 나갔을때 태극기만 보아도 마음이 찡해 오지요 그것은 나 자신도 모르게 내나라 내민족을 사랑하기 때문이라 하네요 그 만큼 태극기는 우리모두의 상징적인 것으로서 애국심을 불러 오지요 그런데 태극기(太極旗)와 태국기(太國旗)를 혼동하는 사람들이 많아요 그래서 태극기에 대하여 알아봤어요 어머니의 마음은 바다처럼 넓다 하지요 그 크신 은혜는 무엇으로든 갚을길이 없어요 어머니는 조상 대대로 내려오는 대(代)를 이어주고 있지요 그 대(代)란 대신할 대 ,이을 대(代)를 쓰지요 대양(大洋)은 5개가 있어요 그래서 5대양(五大洋)6대주(六大洲)라 부르지요 그러므로 큰 태극기는 5대양(五大洋)처럼 드넓은 마음을 상징한다 하네요 여기서 태극기(太極旗)와 태국기(太國旗)의 차이점을 알아보면 태극기는 태극이란 음과 양의 조화를 말함이지요 그리고 태국기는 무궁화를 상징하는 국기봉을 만나야 태국기가 되는 것이구요 실뱀이 나와 발을 물고 놓지 않은 모습이 국기봉과 극기를 묶는 역활과 같은 것이며 이것은 나라를 위한 태몽이지요 또하나 가족과 가족이 만나는 모습으로 중요한 것은 큰 태몽을 받았으나 평범하게 사는 사람들이 많이 있어요 이유는 환경에서 오는 것인데 그래서 자식을 위한 환경을 만들기 위한 부모님들의 노력이 필요한 것이지요 그럼 여기서 태극기와 태국기의 정의를 알아보면 태극기(太極旗)는 태극과 팔괘로 만들어진 깃발이지요 태극기는 태극과 팔괘(八卦)의 문양(文樣)으로 되어 있고 조율(調律),조절(調節),조짐(兆朕),조화(調和),조화(造化)를 뜻하고 있어요 그런데 태국기(太國旗)는 대한민국을 상징하는 국기이지요 태국기(太國旗)는 태극기와 달리 깃대와 정(旌)이 있어야 하지요 그래서 깃대와 정(旌)의 의미는 깃대는 대나무, 간(竿) 절(節)이 있어야 하는데 절(節)의 의미는 대(代)를 나타내고 있어요 정(旌)은 무궁화 봉오리 이지요 무궁화는 영토를 의미하고 봉오리는 끊임없이 번창하는 자손(子孫)을 말함이지요 그러므로 정간(旌竿)의 의미는 대대손손(代代孫孫)이라 할수 있어요 그런데 태국기에는 두개의 고리가 있지요 두개의 고리는 환경(環境)이라 하는데 하나의 고리는 성인(聖人)이며,(어머니),공(公),인륜(人倫)이고 또 하나의 고리는 군자(君子)이지요 (아버지),사(私),천륜(天倫)이것이 태국기의 실체(實體)라 하네요 그러니까 깃대와 정(旌)이 없으면 태극기(太極旗)가 되는것이고 깃대와 정(旌)이 있으면 태국기(太國旗)가 되는 것이지요 세계각국이 국기(國旗)를 제정하여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근대 국가가 발전하면서 부터 시작 되었지요 우리나라의 국기 제정은 1882년(고종 19년) 5월 22일 체결된 조미수호통상조약(朝美修好通商條約) 조인식이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어요 1882년 5월 조미(朝美) 수호통상조약 당시에는 우리나라 국기가 없었어요 5월 14일(이하 양력), 미국 전권특사 슈펠트(Schufeldt) 제독은 만약 조선이 청나라의 '황룡기'와 비슷한 깃발을 게양한다면 조선을 독립국으로 인정하려는 자신의 정책에 위배되는 처사 이므로 조선 대표인 신헌(申櫶)과 김홍집(金弘集)에게 '국기를 제정하여 조인식에 사용할것'을 요구했어요 이때 김홍집은 역관 이응준에게 국기를 제정할것을 명하였고 이응준은 5월 14일에서 22일 사이에 미국 함정인 스와타라(Swatara)호 안에서 국기를 만들었지요 이 '국기'는 22일 제물포에서 열린 조인식에서 성조기와 나란히 게양됐어요 하지만 이 국기의 형태에 대해서는 정확한 기록이 없기 때문에 조인식때 게양된 국기의 형태에 대해서는 정확한 기록이 남아있지 않았어요 그러나 최근 새로운 자료가 발굴됨으로써 '이응준 태극기'는 그 실체를 드러내게 되었지요 조미조약 체결 2개월 뒤인 7월 19일 미국 해군부(Navy Department) 항해국이 제작한 문서 《해상 국가들의 깃발(Flags of Maritime Nations)》이란 책에 태극과 4괘를 갖춘 태극기가 실려 있음이 밝혀진 것이지요 지금의 태극기와 4괘의 좌·우가 바뀌었고 태극 모양이 다를뿐 전체적으로 매우 흡사한 모습이었어요 당시 고종은 임금을 뜻하는 붉은 바탕에 관원을 뜻하는 푸른색과 백성을 뜻하는 흰색을 화합시킨 동그라미를 그려넣게 하여 군민일체를 나타내려 하였지요 그러나 일본 제국의 국기와 비슷하다 하여 김홍집은 “반홍반청의 태극 무늬로 하고 그 둘레에 조선 8도를 뜻하는 팔괘를 그리면 일본 국기와 구분이 될 것”이라 하였어요 드디어 1883년 3월 6일 (고종 20년 음력 1월 27일)에 당시 ‘조선국기’라 불린 태극기가 국기(國旗)로 처음 제정되었지요 그러나 국기제작 방법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은 탓에 다양한 형태의 국기가 사용되어 오다가 상하이에 있던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1942년 6월 29일 국기제작법을 일치시키기 위하여 "국기통일양식(國旗統一樣式)"을 제정·공포하였지만 일반 국민들에게는 널리 알려지지 않았어요 그 뒤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면서 태극기의 제작법을 통일할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정부는 1949년 1월「국기시정위원회」(國旗是正委員會)를 구성하여 그 해 10월 15일에「국기제작법 고시」를 확정·발표하였지요 이후 국기에관한 여러가지 규정들이 제정·시행되어 오다가 2007년 1월「대한민국국기법」을 제정하였고「대한민국국기법 시행령」(2007. 7월)과 「국기의 게양·관리 및 선양에 관한 규정」(국무총리훈령, 2009. 9월)로 제정됨에 따라 국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규정이 완비되었어요 국기(國旗)인 '태극기'(太極旗)는 흰색 바탕에 가운데 태극 문양과 네 모서리의 건곤감리(乾坤坎離) 4괘(四卦)로 구성되어 있지요 태극기의 흰색 바탕은 밝음과 순수 그리고 전통적으로 평화를 사랑하는 우리의 민족성을 나타내고 있어요 가운데의 태극 문양은 음(陰 : 파랑)과 양(陽 : 빨강)의 조화를 상징하는 것으로 우주 만물이 음양의 상호작용에 의해 생성하고 발전한다는 대자연의 진리를 형상화한 것이지요 또 네 모서리의 4괘는 음과 양이 서로 변화하고 발전하는 모습을 효(爻 : 음 --, 양 -)의 조합을 통해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구요 그 가운데 건괘(乾卦)는 우주만물 중에서 하늘을 곤괘(坤卦)는 땅을 감괘(坎卦)는 물을 이괘(離卦)는 불을 각각 상징한다 하네요 이들 4괘는 태극을 중심으로 통일의 조화를 이루고 있지요 이와 같이 우리 선조들이 생활 속에서 즐겨 사용하던 태극 문양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태극기는 우주와 더불어 끝없이 창조와 번영을 희구하는 한민족(韓民族)의 이상을 나타낸 것이지요 따라서 우리는 태극기에 담긴 이러한 고귀한 정신과 뜻을 이어받아 민족의 화합과 통일을 이룩하고 인류의 행복과 평화에 이바지 해야함을 사명으로 삼아야 한다 하네요 그리고 국기를 게양하는날은 다음과 같아요 • 1월 1일: 신정 • 3월 1일: 3·1절 • 6월 6일: 현충일 (조기 게양) • 7월 17일: 제헌절 • 8월 15일: 광복절 • 10월 1일: 국군의 날 • 10월 3일: 개천절 • 10월 9일: 한글날 • 국장기간 (조기 게양) • 국민장일 (조기 게양) • 정부가 따로 지정하는 날 • 지방자치단체가 조례 또는지방의회의 의결로 정하는 경사스런 날 그리고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공공단체의청사, 학교, 공항, 호텔 등의 국제적인 교류 장소 등에는 연중 국기를 게양하도록 되어 있어요 그리고 국기 게양시간은 24시간 게양할수 있으며 야간 게양시에는 적절한 조명을 해야하며 강우, 강설, 강풍등으로 인해 국기의 훼손이 우려될 경우에는 하기(下旗)해야 되지요 또 국기를 해가 뜬 동안에만 게양할때는 3월~10월은 07시부터 18시까지 11월부터 2월까지는 07시부터 17시까지만 게양해야 된다 하는군요 우리의 조국 대한민국을 상징하는 국기(國旗)와 국가(國歌)그리고 국화(國花)의 존엄성을 다시금 인식하시고 언제 어느때고 정중히 그리고 소중히 다루도록 해야 하지요 -* 언제나 변함없는 녹림거사:조동렬(일송) *-


'일반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자문  (0) 2017.02.12
낭패(狼狽)와 비익조(比翼鳥)  (0) 2017.02.10
노블레스 오블리주  (0) 2017.02.10
참(眞)이란 말의 의미  (0) 2017.02.10
양 자의 의미  (0) 2017.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