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낭패(狼狽)와 비익조(比翼鳥) ♣
세상을 살아 가면서 없어서는 안될 것들이 있어요
우리 인간들은 빛과 소금 그리고 물과 공기가 없으면 살지 못하지요
또 많은 물고기들은 물이 없으면 살수 없어요
이렇듯 우주만물에는 반드시 있어야 할것들이 있지요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말중에 “낭패(狼狽)” 라는 말이 있어요
흔히 무슨일을 하다가 잘못 되었을때 '낭패'라는 말을 쓰지요
“이것 참 낭패로군 ~~”
무언가 잘못되었을 때를 일컫는 말이지요
낭패(狼狽)란 이리낭(狼)자에 이리패(狽)자를 쓰는데
지금은 멸종단계에 있는 ‘이리’를 뜻하는 말이지요
이리는 개과에 속하는 산짐승으로 늑대보다는 조금크고 귀가 쫑긋하며
성질이 몹시 사나워 사람과 가축을 해치는 포악한 짐승이지요
그런데 어찌하여 일이 잘못된것을 이리에 비유했을까요?
낭패(狼狽)의 사전적 의미는
“일이 실패로 돌아가 매우 딱하게 됨”이라고 되어 있어요
또 낭(狼)은 이리를 말하고 패(狽) 또한 이리의 한 종류라고 나와 있어요
그렇다면 낭패(狼狽)는 둘 다 이리를 지칭하는 말인데
어떻게 우리가 일반적으로 쓰는 "낭패"라는 의미가 나오게 되었을까요?
박물전휘(博物典彙)란 책에 이렇게 나와 있어요
“낭(狼)이란 짐승은 앞 발이 길고 뒷 발은 짧은데
패(狽)란 짐승은 앞 발은 짧지만 뒷발이 길다
따라서 낭(狼)은 패(狽) 없이는 서지 못하고
패(狽)는 낭(狼) 없이는 가지 못한다“ 라고 쓰여 있지요
또 유양잡조(酉陽雜俎)란 책에서는
“패(狽)는 앞발이 매우 짧아서 움직일때는 항상
낭(狼)의 뒷 넙적다리 위에 앞 발을 얹고 다닌다
패(狽)가 낭(狼)을 잃으면 능히 움직일 수 없으므로
세상에서 일이 어그러진 것을 낭패(狼狽)라고 일컫는다.”라고 쓰여 있어요
이렇듯 두 책의 말이 같지는 않지만
요컨대 낭(狼)과 패(狽)는 함께 있어야만 서로 보완하여 일어서거나 움직일수 있으므로
따로 떨어지게 되면 정말로 ‘낭패스런’ 일이 아닐수 없는 것이지요
우리 옛말에
‘소경이 앉은뱅이를 업고 물을 건넌다’는 말이 있어요
낭(狼)과 패(狽)는 서로의 단점을 서로 도와가며 살아가는 동물인 셈이지요
그런데 본의 아니게 두마리 짐승이 서로 떨어져 있게 되면 둘다 아무것도 할수 없는
난처한 상황에 처하게 되는 것이지요
또 두마리가 함께 합심하여 길을 가다가 호흡이 안맞아 서로 떨어지면
낭과 패가 서로 갈라지게 되지요
그래서 이 상황을 '낭패'라 부르게 되었어요
우리가 일상에서 흔히 쓰는 "낭패(狼狽)"란 말은 여기서 유래된 말이라 하네요
또 이와 비슷한 동물중에 비익조(比翼鳥)라는 새가 있어요
비익조(比翼鳥)는 중국 숭오산(崇吾山)에 산다고 전해지는 새로
날개와 눈이 하나 뿐이어서 암수가 몸을 합쳐야만 날아갈수 있다고 하는데
그 유명한 당나라 현종과 양귀비의 사랑을 비익조의 사랑이라 말했다 하는군요
그래서 당나라의 유명한 시인 백락천이 이 두사람의 사랑을 노래한 장한가(長限歌)에도
비익조가 등장하고 있어요
물론 아주 먼 옛날에는 있었는지 모르지만 지금의 비익조는 상상의 새이지요
이 새는 특이하게 눈하나와 날개 하나만 달려 있어
암수 두 마리가 결합 되어야만 온전히 행동할수 있고 날수도 있다 하지요
그래서 옛날에는 부부가 금슬이 좋은것을 보고 비익조(比翼鳥)에 비유했다 하네요
눈하나와 날개하나 뿐인 비익조가 서로 따로 떨어져 있다면
날기는커녕 제대로 걷지도 못해 다른 짐승에게 금방 잡혀먹히고 말아요
그래서 두 마리가 합하여 하나의 온전한 몸체를 이루듯
우리네 부부들의 사랑도 서로 아끼고 보완하고 보듬어야 한다 하네요
그래서 부부는 비익조(比翼鳥)처럼 언제나 서로 의지하며 한몸으로 살아야 하지요
어느덧 입춘이 지나 새봄이 저기 오고 있어요
머잖아 꽃피고 새우는 새봄이 성큼 다가 올꺼에요
이 새봄에 부부의 사랑을 다시금 확인해 보시면 어떨까요?
부부란 반쪽의 두개가 아니고 하나의 전체가 되는 것이지요
한 몸이 된다는 "결혼서약"은,
두 개의 물방울이 모여 한 개가 된다는 의미 이지요
부부는 가위이지요
두개의 날이 똑같이 움직여야 가위질이 되니까요
부부는 피차의 실수를 한없이 흡수하는 호수이지요
"부부싸움은 칼로 물베기" 라 했으니까요
좋은 남편은 귀머거리요
좋은 아내는 소경이지요
좋은 남편은 골라서 듣고
좋은 아내는 골라서 보지요
좋은 남편은 고개로 사랑하고
좋은 아내는 눈으로 사랑하지요
그래서 부부는 해묵은 골동품과 같다 했어요
-* 언제나 변함없는 녹림거사:조동렬(일송) *-
'일반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묘사직(宗廟社稷) (0) | 2017.02.17 |
---|---|
천자문 (0) | 2017.02.12 |
자랑스런 태극기 (0) | 2017.02.10 |
노블레스 오블리주 (0) | 2017.02.10 |
참(眞)이란 말의 의미 (0) | 2017.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