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상식 396

세계역사(世界歷史)를 바꾼 20인(人)

世界歷史를 바꾼 20人 20.다윈 인간을 원숭이로 만들어 버린 사람. 그의 업적은 과학에만 한정된 것이아니다. 진화론 이후로 우리가 서로를, 세계를 바라보는 눈 자체가 바뀌어 버렸다. 19.당태종(唐太宗) 제2의 중국을 만들어 놓은 사람. 이 사람때부터 중국이 한족만의 중국에서 벗어나 이민족들을 빨아들이는 블랙홀로 변신했다... 그리고 결과는 시간이 흐를 수록 비대해지는 초대형 다민족 제국, 중국이 되었다. 18.히틀러 유럽 제국의 自爆을 유도한 사람... 17,18,19세기에 걸치면서 유럽이 가지고 있던 악과 비능률을 모조리 끌어않고 죽은, 어찌보면 희생양 같은 사람. 17. 칼 마르크스 마르크스는 제2의 예수였다. 그가 남긴 경전은 세계의 절반을 지배하던 율법이었다. 비록 지금 그의 제국은 망했지만,..

일반상식 2020.12.04

삶의 역설(逆說)

삶의 역설(逆說) 날아오르는 연줄을 끊으면 연은 더 높이 날 줄 알았습니다. 그러나 그 연은 땅바닥으로 추락(墜落)하고 말았습니다. 철조망을 없애면 가축들이 더 자유롭게 살 줄 알았습니다. 그러나 사나운 짐승에게 잡아먹히고 말았습니다. 관심(關心)을 없애면 다툼이 없어질 줄 알았습니다. 그러나 다툼이 없으니 남남이 되고 말았습니다. 간섭을 없애면 편하게 살 줄 알았습니다. 그러나 곧바로 외로움이 뒤쫓아 왔습니다. 바라는 게 없으면 자족할 줄 알았습니다. 그러나 삶에 활력(活力)을 주는 열정(熱情)도 사라지고 말았습니다. 불행(不幸)을 없애면 행복할 줄 알았습니다. 그러나 무엇이 행복(幸福)인지 깨달을 수 없었습니다. 편안(便安)을 추구(追求)하면 권태(倦怠)가 오고 편리(便利)를 추구(追求)하면 나태(懶..

일반상식 2020.12.04

여보와 당신의 의미

여보와 당신의 의미 여보(如寶)는 같을 如(여)자와 보배 보(寶)이며 보배와 같이 소중하고 귀중한 사람 이라는 의미지요. 그리고 그것은 남자가 여자를 부를 때 하는 말이고 여자가 남자를 보고 부를 때는 그런 표현을 쓰기 보다는 다른 표현을 쓰게 되지요. 그것은 남자를 보배 같다고 하면 좀 이상한 듯한 기분이 드니까요. 그래서 당신(當身)이라는 말을 사용하게 되는 데 그 말의 뜻은 마땅할 당(當)자와 몸 신(身)자. 바로 내 몸과 같다는 의미 가 '당신'이란 말의 뜻입니다.

일반상식 2020.12.04

욕설로 풀어 본 한국인의 자화상

욕설로 풀어 본 한국인의 자화상 질병ㆍ형벌ㆍ생활은 물론 역사까지 시대상 반영 외세ㆍ권위주의ㆍ차별 등 억압적 일상을 담아내 화냥년과 호로 상놈의 시대는 가버렸다. 당연히 유전적 의미에서 후레자식도 사라졌다. 한반도에서만이 아니라 제 나라에서도 청(淸)은 힘을 잃어버렸다 다만 욕은 왕이 무릎 꿇은 치욕적인 삼전도(三田渡) 굴욕을 지금껏 잊지 않고 있다. 환향(還鄕)녀와 호로(胡虜)자식이 호란(胡亂)이 남긴 유산이라는 건 널리 아는 대로다. 욕설은 단지 상스럽고 천박한 비어(卑語)가 아니다. 욕설은 사회를 민중언어로 반영한다. 압축적으로 격변해온 한국 근대사는 욕 또한 창조를 거듭했다. 이마에 먹물 새기는 경칠 놈, 다섯 토막 낼 오살할 놈 등은 1894년 갑오경장 무렵 욕의 구체성이 소멸해 긴장감이 한결 떨..

일반상식 2020.12.03

포공구덕(蒲公九德)

포공구덕(蒲公九德) ◀ 민들레 이야기 ▶ ※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민들레 이야기다. 포공(蒲公)이란 민들레의 습성(習性)을 비유하여, 한의학(韓醫學)에서 민들레를 지칭하는 말로, 포공영(蒲公英)이라고도 한다. 민들레에는 아홉가지 배울 점이 있는데, 옛날 사당에서는 뜰에 민들레를 심어 글을 배운 제자들이 매일 같이 보면서 민들레의 아홉가지의 德目을 교훈으로 삼도록 가르쳤고 이를 포공구덕(蒲公九德)이라 했습니다. 그 아홉가지 德이라 함은 1) 인(忍) 민들레는 밟거나 우마차(牛馬車)가 지나다녀도 죽지 않고 살아나는 끈질긴 생명력이 있어 忍의 德目을 지녔고, 2) 강(剛) 민들레는 뿌리를 자르거나 캐내어 며칠을 말려도 싹이 돋고, 호미로 난도질해도 가느다란 뿌리를 내려 굳건히 살아나는 剛(굳셀강)의 ..

일반상식 2020.11.20

화페속의 인물들

화페속의 인물들!! 호랑이는 죽어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 이름을 남긴다고 했던가. 우리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람들은 화폐속 인물이 되어 현시대의 사람들과 공존하고 있다. 얼마전 새로 발권된 지폐의 인물 또한 우리나라의 역사적인 인물들이 아니던가. 각나라의 화폐속에 담겨진 인물들을 살펴보자! 그들의 삶이 오늘날 우리에게 얼마나 많은 영향을 주는지 알 수 있다. 판보이쩌우(Phan-Boi-Châu) 1867 ~ 1940. 9. 29 베트남의 해방운동 지도자. 항(抗)프랑스 단체인 유신회(維新會)를 결성하고, 베트남의 청년들을 일본에 유학시켜 인재를 육성하겠다는 동유운동(東遊運動)을 일으켰다. 중국에서 신해혁명이 일어나자 베트남광복회를 조직하여 중국 각지에서 독립운동을 지도하였다. 마르코니(Gugliel..

일반상식 2020.11.05

통계로본 일본

1. 일본의 경제규모는 세계 3등(구매력 기준 GDP는 4위)이다. 2. 도쿄는 세계에서 가장 큰 도시이다. 도쿄의 경제력은 한국을 능가하고 프랑스와 비슷하다. 3.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 랭킹 10위권에 들어 있는가장 큰 도시는 7위의 도쿄, 두 번째가 3위인 오사카이다. 도쿄는 일반적으로 가장 안전하고, 깨끗하며, 친절한 대도시로 평가된다. 4. 미셀린 고급 식당이 가장 많은 도시는 파리가 아니고 도쿄이다. 5. 도쿄는 1700년 무렵 인구가 100만 명으로 당시에 이미 세계 최대였다. 6. 21세기에 들어서 노벨상을 가장 많이 받은 나라는 미국에 이어 일본이 2등이다. 7. 일본은 세계 1위의 특허출원국이다. 8. 건축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프리츠크 상을 가장 많이 받은 나라는 미국과 일본이다..

일반상식 2020.10.05

절식(節食)과 시식(時食)

절식(節食)과 시식(時食) ◆절식과 시식 우리 조상은 예부터 ‘절식’과 ‘시식’을 했습니다. 24 절기와 명절에 맞춰 먹는 음식이 바로 절식(節食)입니다. 입춘(立春)에 궁중에선 수라상에 오신반(五辛盤)을 올리고, 민가에선 세생채(細生菜)를 즐겨 먹었습니다. 시식(時食)은 제철 음식을 가리킵니다. 조상이 즐긴 절식과 시식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설날(음력 1월 1일) 한 해의 시작이다. 차례상을 차리고 세배 온 손님들을 대접하기 위해 다양한 음식을 준비한다. 이를 통틀어 세찬(歲饌)이라 한다. 세찬은 떡국·만둣국·편육·전유어·육회·누름적·떡찜·잡채 등 다양하다. 떡국의 주재료는 가래떡이다. 떡국의 국물을 만드는 주재료는 원래 꿩고기였다. 그러나 매사냥을 하지 않으면 꿩고기를 구하기 힘들어 서민들은 닭고기..

일반상식 2020.09.12

포공구덕(蒲公九德)

포공구덕(蒲公九德) ◀ 민들레 이야기 ▶ ※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민들레 이야기다. 포공(蒲公)이란 민들레의 습성(習性)을 비유하여, 한의학(韓醫學)에서 민들레를 지칭하는 말로, 포공영(蒲公英)이라고도 한다. 민들레에는 아홉가지 배울 점이 있는데, 옛날 사당에서는 뜰에 민들레를 심어 글을 배운 제자들이 매일 같이 보면서 민들레의 아홉가지의 德目을 교훈으로 삼도록 가르쳤고 이를 포공구덕(蒲公九德)이라 했습니다. 그 아홉가지 德이라 함은 1) 인(忍) 민들레는 밟거나 우마차(牛馬車)가 지나다녀도 죽지 않고 살아나는 끈질긴 생명력이 있어 忍의 德目을 지녔고, 2) 강(剛) 민들레는 뿌리를 자르거나 캐내어 며칠을 말려도 싹이 돋고, 호미로 난도질해도 가느다란 뿌리를 내려 굳건히 살아나는 剛(굳셀강)의 ..

일반상식 2020.09.07

조선팔도의 지리적 특성!

조선팔도의 지리적 특성! 우리 나라에는 조선초기(朝鮮初期)에 이미 ‘팔도(八道)’라는 행정 그 후 약 5백 년간 이 제도가 존속(存續)되어왔다. 즉 경기도(京畿道), 충청도(忠淸道), 전라도(全羅道) 경상도(慶尙道) 강원도(江原道), 황해도(黃海道), 평안도(平安道) 함경도(咸鏡道)의 8도가 그것이다. 8도의 명칭의 근원을 살펴보면 경기도(京畿道)는 서울(京)과 궁궐주위 5백리 이내의 지역을 뜻하는 기(畿)를 합쳐 경기라 하였고 충청도(忠淸道)는 그 대표적인 고을인 忠州와 淸州가 있어 충청으로 전라도(全羅道)는 전주(全州)와 나주(羅州)가 있어 전라로 경상도(慶尙道)는 경주(慶州)와 상주(尙州)를 경상으로 강원도(江原道)는 강릉(江陵)과 원주(原州)에서 강원이 되었고 황해도(黃海道)는 황주(黃州)와 해주..

일반상식 2020.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