孫眞人養生銘云(손진인양생명운)
◈ 怒甚偏傷氣(노심편상기)
첫째는 사람이 성내기를 심하게 하면 기운(氣運)을
상하게 되는 것이니 성내기를 자제해야 하겠습니다.
◈ 思多太損神(사다태손신)
둘째는 사람이 쓸데없는 생각을 많이
하면 정신이 상하게 되는 것입니다.
때문에 잡념(雜念)이나 공상(空想)이나
망상(妄想)을 많이 하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 神疲心易役(신피심이역)
셋째는 정신이 많이 피로(疲勞)하게 되면 마음이
번잡하여 수고로워지기 쉽다고 하였습니다.
그러니 정신을 피로하지 않게 정신을
종종 휴식을 취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 氣弱病相因(기약병상인)
넷째는 기운을 많이 소모(消耗)하여 기운이
약하게 되면 질병이 따라 일어나게 됩니다.
때문에 자신의 기운을 살펴서
기운의 소모를 줄이도록 해야 하겠습니다.
◈ 勿使悲歡極(물사비환극)
다섯째는 사람의 감정(感情)은 지나치게 슬퍼하거나
지나치게 기뻐하는 것을 심하게 말아야 하는 것입니다.
감정이 지나치면 역시 기력(氣力)을 잃게 되겠지요.
◈ 當令飮食均(당령음식균)
여섯째는 편식(偏食)을 하지 말고 음식은 마땅히 고르게
취하여 육신적인 면에서도 건강을 잘 챙겨야 하겠습니다.
◈ 再三防夜醉(재삼방야취)
일곱째는 밤에 과음(過飮)하여 술에 취하지 말라고 하였습니다.
밤에 과음하면 건강도 좋지 않을뿐더러 방탕하기 쉬우니까요.
◈ 第一戒晨嗔(제일계신진)
여덟째는 무엇보다도 새벽에 성내는 것을 경계하라고 하였습니다.
하루의 일과는 아침에 있는데 아침부터 크게
혈기(血氣)를 부리고화를 내면하루 종일
기분이 나빠지고재수(財數)가 없게 되기 때문입니다.
'일반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콩으로 만든 고기와 채식주의 (0) | 2019.03.24 |
---|---|
콩 과학관과 영주 부석태 (0) | 2019.03.21 |
콩 요리의 최고봉 두부의 (0) | 2019.03.16 |
콩의 효능과 된장의 오덕 (0) | 2019.03.14 |
청국장의 유래 (0) | 2019.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