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상식

추석과 한가위

하라배 2019. 9. 15. 10:46

추석하면 제일먼저 떠오르는말이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 이지요

이는 한가위 즉 추석은 모든것이 풍성한 계절에 가족모두 만날수 있는 매우 즐거운 날로서

매일 이런 날이길 바라는 마음에서 유래되었다 하지요


그런데 추석과 한가위의 뜻을 아시나요?

추석(秋夕)은 우리나라 4대 명절의 하나로 한가위, 중추절(仲秋節) 또는

중추가절(仲秋佳節)이라고도 하지요

한가위를 추석, 중추절(仲秋節·中秋節)

또는 중추가절(仲秋佳節)이라 한것은 훨씬 후대에 와서 생긴 일이라 하네요

즉 한자가 전래되어 한자 사용이 성행했을때

중국 사람들이 '중추(中秋)'니 '추중(秋中)' 이니 하고

'칠석(七夕)'이니 '월석(月夕)'이니 하는 말들을 본받아 이 말들을 따서 합하여 

중추(中秋)의 추(秋)와 월석(月夕)의 석(夕)을 따서 추석(秋夕)이라 한 것이라 하지요


한가위는 순수 우리말로 가배, 가위, 가윗날과 함께 추석을 일컫는 말이지요

가위는 8월의 한가운데 또는 가을의 가운데를 의미하며

한가위의 ‘한’은 ‘크다’는 뜻이며 크다는 말과 가운데라는 말이 합해진 것으로,

‘한가위’란 8월의 한가운데에 있는 큰 날이란 뜻이지요


또는 가을의 한가운데에 있는 큰 날이라고 할수도 있어 

 ‘한가위’란 큰 날 또는 큰 명절이라고 할수 있어요

음력 8월을 중추지월(中秋之月)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한자음에 따른 것으로 가위는 곧 가을의 가운데라는 의미를 포함하며

월석은 달빛이 가장 좋다고 하여 붙여진 말이지요


오곡백과가 익는가는 계절 가을의 한 가운데 큰 날

‘한가위’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 처럼 행복하고 넉넉한 한가위를 보냈으면 좋겠다.

없다 시리즈

10대 철이 없다. 

20대 30대 집이 없다.

40대 돈이 없다.

50대 일이 없다.

60대 낙이 없다.

70대 이가 없다.

80대 처가 없다.

90대 시간이 없다.

100대 다 필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