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무니없다와 어처구니
우리는 평소에 "어처구니"가 없다 또는 "터무니 없다"란 말을 자주 쓰고 있지요
그런데 '어처구니와 터무니 없다'는 말은 일맥 상통하는 면이 없지 않아요
그럼 먼저 '어처구니'에 대하여 알아 보기로해요
물론 ‘어처구니’를 ‘바윗돌을 부수는 농기계의 쇠로 된 머리 부분'
또는 ‘맷돌을 돌리는 나무막대로 된 손잡이’ 또 ‘궁궐이나 성문 등의
기와 지붕에 있는 사람이나 갖가지 기묘한 동물 모양의 토우’로 알고 있는것이 사실이지요
그리고 이를 토대로 ‘어처구니없다’의 유래를 설명하기도 하지요
가령, 맷돌을 돌리려고 하는데 정작 중요한 도구인 손잡이(즉 ‘어처구니’)가 없어
맷돌을 돌릴수 없게 되어 허탈해짐으로써
‘어처구니없다’라는 말에 ‘어이없다’는 의미가 생겨났다는 식이지요
그러나 현대국어 사전에서는 ‘어처구니’를
‘상상 밖의 엄청나게 큰 물건이나 사람’이라 서술하고 있어요
"∼가 없어 입이 딱 벌어지다" 로 쓰인다 하지요
주로 ‘없다’로만 통합되어 쓰이고 독자적으로 쓰이는 경우가 별로 없어요
다만 19세기 말이나 20세기 초에 나온 사전적 의미나 20세기 초의 몇 안되는
실제 용례(소설)를 통해 ‘어처구니’에 대한 좀 더 구체적인 의미를 추측할수 있을 뿐이지요
19세기 말의 “한영자전”(1897)에는 ‘어쳐군이’로 표기되어 나오며
‘돈을 주조하는데 쓰이는 놀랄 만한 기계’라고 기술되어 있고
20세기 초의 “조선어사전”(1938)에는 ‘키가 매우 큰 사람의 별칭’으로 기술되어 있어요
그리고 20세기 초에 나온 소설류에서는 엄청나게 큰 기계를
‘어처구니 기계’ 엄청나게 큰 굴뚝을 ‘어쳐군이 굴둑’으로 표현해 놓았지요
그리고 어떤 소설에서는 ‘어처구니’가 ‘증기기관’과 같음을 특별히 지적하고 있어요
그러니까 우리가 생각하고 보아왔던 보통의 상식을 뛰어넘는 크기나 물건을 보았을때
'어처구니'란 말을 사용한 것으로 추측할수 있지요
'어처구니 없이 크다' 또는 '어처구니 없는 물건이다' 란 뜻으로 사용한 것이지요
다시말해 상상하기 힘든 것을 처음으로 보았을때 '어처구니가 없다'고 감탄했던 말이
지금의 어처구니 없다는 말로 전해 온것으로 추측할수 있어요
이를 토대로 “큰사전”(1957)에서도 ‘어처구니’를
‘상상 밖에 엄청나게 큰 물건이나 사람’이라고 기술한 것이지요
20세기초 까지만 해도 ‘어처구니’는 단독으로 쓰이기보다는 주로
‘없다’와 어울려 ‘어처구니가 없다’ 또는 ‘어처구니없다’로 쓰이고 있었지요
그런데 궁금한 것은 ‘어처구니’가 ‘없다’와 통합하여
어떻게 ‘어이없다’와 같은 뜻을 갖게 되었는가 하는 점이지요
20세기 초의 ‘어처구니’는 ‘엄청나게 큰 기계나 물건,
그리고 그와 같은 사람’이라는 의미여서 ‘어처구니가 없다’나
‘어처구니없다’는 ‘엄청나게 큰 기계나 물건이 없다’
또는 ‘엄청나게 큰 사람이 없다’의 뜻이 되어
이를 바라보면 실로 상상하기 어려워 ‘어이없다’,
‘기가 막히다’의 뜻이 되었음을 알수 있지요
그러니까 요즘 말로 "기가 막혀 말이 안 나온다"는 말과 일맥 상통하고 있어요
아무튼 '어처구니없다'의 뜻으로는 ‘어이없다’가 바른 표기이지요
이때 ‘어이’는 ‘어처구니’를 의미 하지요
참고로 '어의'는 '임금이 입던 옷/임금이나 왕족의 병을 치료하던 의원'이란 뜻도 있어요
또 "터무니 없다"는 이치나 도리에 맞지 않는다`의 뜻이지요
터무니는 원래 터를 잡은 자취를 뜻하는 말인데 터를 잡았던 흔적이 없다는 말이니
전혀 근거가 없거나 이치에 닿지 않는다는 뜻이지요
사실과 아주 동떨어지거나 근거가 없다 터무니없는 주장.
말을 해도 터무니없는 이야기 그만 해라! 등등
사전적 의미로 <터무니>는 '터를 잡은 자취' 혹은 '정당한 근거나 이유'를 말하며
<터무니없다>는 '허황하여 전혀 근거가 없다'로 정의하고 있지요
터무니에서 <터>는 '집이나 건축물을 세운 자리'를 뜻하고
건물이 있던 자리는 집을 헐어도 기둥을 세웠던 자리가 흔적으로 남게 되는데
그 흔적을 보고 집이나 건축물이 있었음을 추측하게 되지요
그런 맥락에서 터무니가 없다는 건 그 자리에 집이 없었다는 뜻으로
근거와 정황을 나타내는 의미를 갖게 된 것이라 하지요
<터무니>는 <터>와 <무니>가 결합된 말로 <무니>는
무늬로 현재도 사용되는 말로서 터가 있던 '언저리 또는 발자취'를 의미한다 하지요
그러므로 여러 가지 모양을 뜻하는 무늬의 변화형으로 해석되거나
터 뒤에 붙는 단순 접미사로 추측되기도 하지요
요즘 참 어처구니 없는 일과 터무니 없는 일들이 많이 일어 나고 있어요
그래서 그런지 "조로남불"이라는 말도 생겨 났지요
어쩌다 이 지경까지 이르렀는지?
세상이 참 많이 변하였지요
상하가 없고 위 아래가 없어요
가식과 위선이 난무하고 있지요
포풀리즘과 선동이 판을치는 세상이지요
민주주의 라는 말을 앞세우며 적폐를 운운 하지요
내편이 아니면 모두다 적이 되는 세상이지요
그러나 사회정의는 잠시 가릴수는 있어도 영원하지 못하지요
민주주의는 앞세울수 있어도 자유주의는 앞세울수 없어요
민주라는 허울로 아무리 선동(煽動)한들
자유를 추구하는 만백성을 호도(糊塗)할수는 없지요
옛말에 비리법권천(非理法權天)이란 말이 있어요
이는 중국의 한비자가 군왕에게 고했던 말인데
비(非)는 이치를 이길수 없고
이치(理致)는 법을 이길수 없으며
법(法)은 권력을 이길수 없고
권력(權力)은 천(민심)을 이길수 없다는
엄한 가르침이지요
'일반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몰라서 뭇받는 환불상식 (0) | 2019.09.27 |
---|---|
비인부전(非人不傳) 비기자부전(非器者不傳) (0) | 2019.09.24 |
추석과 한가위 (0) | 2019.09.15 |
휴대폰을 두면 절대로 안 되는 곳 (0) | 2019.09.11 |
세상에서 가장 귀하고 비싼물질 (0) | 2019.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