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613

자식에게 전해주고 싶은 8가지 이야기

자식에게 전해주고 싶은 8가지 이야기 세상사는 이야기는 누가 뭐래도 내 자신이 실천을 해야 하는 법입니다 좋은 생각 글이라 생각 --- 꼭 지키며 살기 바랍니다 가. 건강 이야기 1. 보약보다 효가가 있는것은 운동이다 2. 보약보다 효과가 있는것은 음식 잘먹는것이다 3. 보약 보다 효과가 있는것은 나쁜버릇 고치기다 나. 정신 이야기 1. 매사에 세번 생각하고 세번 인내 하기 2. 내가 남보다 잘낫다는 망상은 버려라 3. 남의 잘못을 따지기전에 내잘못을 돌아보자 다. 대인관계 이야기 1. 상대를 대접하라 그래야 내가 대접 받을수있다 2. 상대를 무시하면 또 하나의 적이 생긴것과 같다 3. 상대에게 내 속내를 보이지 말라 라. 친구 이야기 1. 믿음과 신의가 있어야 한다 2. 거짓은 없는 진실로 맺은 우정 ..

삶의 지혜 2020.06.01

세상에서 가장 깨어지기 쉬운 것

세상에서 가장 깨어지기 쉬운 것 어느 날, 고흐가 창가에 앉아 지나가는 사람들을 보고 있는데, 한 사람이 물건을 포장하는 천으로 만든 옷을 입고 있는 게 보였습니다. 그 사람의 가슴에는 포장용 천으로 사용했던 흔적이 뚜렷이 남아 있었는데 바로 천에 새겨진 글자 때문이었습니다. ‘Breakable(잘 깨짐)’ 그 문구를 보며 고흐는 자신의 무릎을 쳤습니다. “아하! 사람은 깨지기 쉬운 존재로구나!” 그리고 그 사람이 자신의 앞을 지나쳐 멀어져 가는 뒷모습을 다시 보았는데, 그의 등에도 글자가 새겨져 있었습니다. ‘Be Careful(취급 주의)’ 고흐는 등에 새겨진 글을 보고 다시 한 번 무릎을 두드렸습니다. “맞아, 사람은 조심스럽게 다뤄야 하는 거야!” 우리 주변에서 가장 잘 깨지는 것은 유리병입니다...

삶의 지혜 2020.06.01

수도거성(水到渠成)

수도거성(水到渠成) 물이 흐르면 자연히 도랑이 생긴다는 뜻으로 조건이 갖춰지면 일은 자연히 성사된다는 의미입니다. 물이 흐르면 도랑을 이루고, 외가 익으면 꼭지가 떨어집니다. 시기가 무르익고 조건이 갖춰지면, 굳이 애쓰지 않아도 모든 것이 절로 이루어 집니다. 때가 아닌데 억지로 하려든다면 이룰수도 없고, 하루가 피곤하고 인생이 덩달아 피곤해집니다. 조건을 사전에 준비하고 확인하여 때가 왔을때 강력한 추진력으로 진행해야 합니다.? 자기를 아는 자는 남을 원망하지 않고, 천명을 아는자는 하늘을 원망하지 않습니다. 복(福)은 자기에게서 싹트고, 화(禍)도 자기로부터 나오는 것입니다. 세상을 보고 싶은데로 보는 사람은, 세상이 보이는데로 보는 사람을 절대 이길 수가 없습니다. 훌륭한 상인은 물건을 깊숙이 숨겨..

삶의 지혜 2020.06.01

품위(品位) 있는 노인(老人)의12가지 법도(法道)

品位 있는 老人의12가지 法道 1. 언도(言道) - 노인은 말의 수는 줄이고, 소리는 낮추어야 한다. 2. 행도(行道) - 노인은 행동을 느리게 하되 행보는 신중해야 한다. 3. 금도(禁道) - 노인은 탐욕을 금하라. 욕심이 크면 사람이 작아 보인다. 4. 식도(食道) - 노인은 먹는 것으로 산다. 가려서 잘 먹어야 한다. 5. 법도(法道) - 삶에 규모를 갖추는 것이 풍요로운 삶보다 진실하다. 6. 예도(禮道) - 노인도 젊은이에게 갖추어야 할 예절이 있다. 대접만 받으려 하지 말아야 한다. 7. 낙도(樂道) - 삶을 즐기는 것은 욕망을 채우는 것에 있지 않다 간결한 삶에 낙이 있다. 8. 절도(節道) - 늙음이 아름다움을 잃는 것은 아니다. 절제하는 삶에 아름다움이 있다. 9. 심도(心道) - 인생의..

황혼인생 2020.06.01

男便(남편)은 데리고 온 아들

男便(남편)은 데리고 온 아들 우리 집에서 있었던 일이다. 아들이 자기 엄마에게 대들면서 이렇게 불평하는 것이었다. "엄마는 왜 이렇게 사람 差別(차별)하세요? 아빠하고 밥 먹을 때는 반찬을 5가지, 6가지씩 놓고 먹으면서 나하고 먹을 때는 달랑 두 가지만 주냐구요? 너무하지 않아요? 웬만큼 차이가 나야지, 정말 그랬다. 아내는 남편 없으면 자신의 입맛도 별로 없다고 하면서 아들하고 대충 차려 먹는 습성이 있었던 것이다. 그것을 아들이 지적한 것이다. 이때 아내가 지혜롭게 대답을 했다. "상준아, 너는 내가 낳은 아들이지 않니? 너는 내가 어떻게 해도 다 이해할 수 있지만 아빠는 그렇질 않단다 아빠는 내가 낳은 아들이 아니라 데리고 온 아들이야! 생각해 봐라. 내가 낳은 아들은 내가 어떻게 해도 다 이해..

삶의 지혜 2020.05.22

일본 암전문의가 말하는 의학상식

일본 암전문의가 말하는 의학상식 일본에서 암전문의(癌專門醫)로 유명한 곤도 마코토(近藤 誠)가 책을 썼는데 그 내용이 충격적이라 이곳에 올려 봤어요 그 내용들을 간략하게 소개하면 아래와 같은데 이를 과연 믿어야 할지 말어야 할지 의문이 드는군요 여러분은 어찌 생각하시는지요? 1. 환자는 병원의 "돈줄"이 아니다. 의료도 비즈니스이며, 그것이 의사의 생계 수단임을 알아야 한다 2. 병원에 자주 가는 사람일수록 빨리 죽는다. 40여년간 의사생활을 하면서 수많은 환자를 지켜보며 장기를 절제해도 암은 낫지 않고, 항암제는 고통을 줄 뿐이다 3. 노화 현상을 질병으로 봐서는 안된다. 나이가 들면 혈관은 탄력이 떨어지고 딱딱해지기 때문에 혈압이 조금 높아야 혈액이 우리 몸 구석 구석까지 잘 흘러 간다 콜레스테롤은 ..

건강상식 2020.05.22

육십년의 독백 한잔

육십년의 독백 한잔 내가 10대였을 때는 60대는 할매인줄 알았다 내가 20대였을 때는 60대는 아지매인줄 알았다 내가 30대였을 때는 60대는 어른인줄 알았다 내가 40대였을 때는 60대는 대선배인줄 알았다 내가 50대있을때는 60대는 큰형님인줄 알았다 내가 60대가 되어보니 60대도 매우 젊은 나이네 항상 멀게만 느껴지고 아득했던 60대 이제 60줄에 들어서고는 뭔지 모르게 심쿵 했는데 어김없이 올해도 지나가겠지 70대도 이렇게 소리없이 나에게 친한척 다가 오겠지 인생은 일장춘몽이라 하룻밤 꿈같다고 누가말했던가 ? 흐르는 세월 따라 잊혀진 그 얼굴들이 왜 이렇게 또 다시 떠오르나 정다웠던 그 눈길 그목소리 어딜갔나 아픈 가슴 달래며 찾아 헤메이는 눈부시게 쏟아지는 찬란한 햇살이 조금은 따사로운 날 문..

좋은 글모음 2020.05.21

한자(漢字) 웃음 이야기

한자(漢字) 웃음 이야기 하하하 (下下下) 자신을 낮추고 남을 높이는 것입니다. 이것이 웃음의 출발 입니다 호호호 (好好好) 호감이야말로 가장 뛰어난 이미지 메이킹이며 남과 여가 함께하는 웃음 속에 관계를 갈망 하는 의지가 새겨 집니다. 그래서 웃음은 만국 공통 여권입니다 희희희 (喜喜喜) 웃다 보면 좋은 일만 생깁니다. 그래서 기쁠희(喜) 자에는 좋은길(吉) 이 들어 있으며, 행복해서 웃는 게 아니라 웃어서 행복한 겁니다 허허허 (虛虛虛) 웃음은 '비움' 입니다. [ 虛 빌허 ] 웃는 순간 가슴에는 태평양보다 더 큰 바다가 생겨납니다. 여유로움입니다 한자( 해해해 (解解解) 웃다보면 근심걱정 이 도망갑니다. 웃음은 마음의 해우소입니다. [ 解 풀 해 ] 그렇기 때문에 웃을 때는 '하하하' 로만 끝나면 ..

일반상식 2020.05.21

인생삼락

인생삼락 아버님이 뿌려주신 많고많은 씨앗중에 모든경쟁 물리치고 오직하나 살아남아 어머님의 몸속에서 반겨주는 인연만나 열달해로 하고나서 몸밖으로 나왔더만 기다리고 기다리던 부모형제 이웃사촌 웃음으로 맞으시니 태어남이 일락이요 태어난게 기적인데 무슨욕심 더할손가 좋은세상 따로있나 마음먹기 나름이지 욕심하나 버렸더니 온세상이 우정이고 욕정하나 버렸더니 온세상이 사랑일세 빈손으로 태어나서 우정하나 사랑두울 양손으로 쥐었으니 이게바로 이락이요 덤과같은 인생살이 아쉬울게 무엇이랴 하루하루 행복하게 즐기면서 살아가소 오늘가나 내일가나 남는것이 인생인데 화낼일이 무엇이고 다툴일이 뭐라던가 후회없고 미련없는 세상살이 누린후에 우정배웅 사랑배웅 받는것이 삼락이네 여보시게 벗님네야 인생살이 별거없다 오실때는 울었지만 가실때..

황혼인생 2020.05.20

부부싸움 일이삼사오

가정(家庭)이란 공동체(共同體)에서는 부부간 (夫婦間)의 의견 意見)다툼은 반드시 있기 마련이다. 의견(意見) 다툼을 할 때에는 반드시 ◈ 다섯 가지 조건(條件)을 지켜라.◈ 일.- 일어난 일만 가지고 다투라. 일어난 일을 넘어서 성격(性格)이 어떻고, 나한테 무얼 해주고, 과거(過去) 잘못했던 점(点)등으로 확대(擴大)하지 말 것. 이.- 이기려 하지 마라. 이번엔 버릇을 고쳐주겠다. 본떼를 보여주겠다. 자존심(自尊心)을 찾겠다. 절대(絶對)로 꺽임을 당하지 않겠다. 보잘 것 없는 자존심(自尊心) 버리고, 상대(相對)의 의견(意見)을 듣는 기회 (機會)로 생각(生覺)하라. 부부(夫婦)싸움은 지는 자(者)가 이기는 者이다. 삼-삼가야할 말은 끝까지 삼가라. 욕설(辱說). 막가파 들이 쓰는 말. 가슴에 상..

삶의 지혜 2020.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