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선 때에 진졸(津卒) 곽리자고(里子高)의 아내 여옥(麗玉)이 지었다고 전하는 노래.
1.작품
公無渡河(공무도하) 그대여 물을 건너지 마오, 公竟渡河(공경도하) 그대는 마침내 물을 건너시네, 墮河而死(타하이사) 물에 빠져 죽으니, 當奈公何(당내공하) 이제 어찌할 것인가 |
2.이해와 감상
1)작품해제
작자 | 백수광부의 처 | 제재 | 물 |
연대 | 고조선 | 주제 | 남편의 죽음을 애도함 |
종류 | 한역가, 서정시 | 의의 | 원시적 서사시에서 서정시로 옮아가는 과도기적인 작품 |
구성 | 4언 4구체 | 우리 나라의 시가로 보았을 때 문헌상 가장 오래된 서정시가 | |
내용 | 물에 빠젼 죽은 남편 애도 및 자신의 운명 한탄 | 출전 | 해동역사 |
2)작품 이해
출전문헌인 《고금주(古今注)》에 의하면, 어느 날 곽리자고가 강가에서 백수광부(白首狂夫)의
뒤를 따라 물에 빠져 죽은 어느 여인(곧 백수광부의 아내)의 애처로운 광경을 보고 돌아와
여옥에게 이야기하였더니, 여옥이 그 여인의 슬픔을 표현한 노래를 지어 공후()에 맞추어 부른 것이라 한다.
연대적으로 보아 한국 문학사상(文學史上) 가장 오래된 작품으로 널리 알려져 왔으나
확실한 제작 연대와 원가(原歌)는 알 수 없고, 이 노래의 한역가(漢譯歌)인 듯한
4구(句)로 된 한문 표기의 짧은 노래가 전한다.
《해동역사(海東繹史)》에 의하면, 백수광부가 물에 빠져 죽으니 그의 아내는 통곡하여 울다가
슬피 공후를 타며 노래를 부른 후 자기도 물에 몸을 던져 죽었다는 내용에 따라, 원작자(原作者)는
백수광부의 아내이며 이를 노래로 정착시킨 사람이 여옥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또 전하는 가사가 시경체(詩經體)인 것으로 보아 당시 중국에서 성행한 시경체가 한국에도 영향을 준 것이라 보기도 한다.
《공후인(引)》은 악곡(樂曲)의 명칭이고 작품명은 《공무도하가》라고 하는데, 일반적으로 《공후인》으로 통칭하고 있다.
한편, 기록에 나오는 조선이 중국의 지명을 가리키는 것이어서 중국의 악부시(樂府詩)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3)배경설화
조선의 뱃사공 곽리자고(藿里子高)가 아침 일찍 일어나 배를 손질하고 있었다.
그 때 머리가 하얗게 센 미치광이[백수광부(白首狂夫)] 한 사람이 머리를 풀어헤친 채 술병을 쥐고는
어지러이 흐르는 강물을 건너고 있었다. 그 뒤를 그의 아내가 따르며 말렸으나,
미치지 못해 그 미치광이는 끝내 물에 빠져 죽고 말았다.
이에 그의 아내는 공후를 뜯으면서 공무도하(公無渡河)의 노래를 지었는데,
그 목소리가 아주 슬펐다. 노래가 끝나자 그의 아내는 스스로 물에 몸을 던져 죽었다.
이러한 광경을 처음부터 목격한 곽리자고는 돌아와 자기 아내 여옥(麗玉)에게
이야기하면서 노래를 들려 주었다. 여옥은 슬퍼 공후를 뜯으면서 그 노래를 불렀다.
듣는 사람들 중에 눈물을 흘리지 않는 사람은 하나도 없었다.
여옥은 이 노래를 이웃에 사는 여용(麗容)에게 전하였다.
이 노래를 이름하여‘공후인( 引)’이라 하였다.
또한, 백수 광부는 희랍의 주신(酒神) 바쿠스(Baccus)로 보고,
백수 광부의 처는 음악(音樂)의 신 님프(Nymp)로 보는 견해도 있다.
'일반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깡패와 양아치 (0) | 2018.08.15 |
---|---|
십이지간(十二支干)의 역사 (0) | 2018.07.16 |
하늘 끝까지 오른 항룡유회 (0) | 2018.07.04 |
[스크랩] 아 ! 씻을 수 없는 우리민족 최대의 "굴욕" (0) | 2018.07.02 |
천사의 나팔꽃과 악마의 나팔꽃 (0) | 2018.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