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 도덕경의 상선약수(上善若水) 노자 도덕경의 상선약수(上善若水) 상선약수(上善若水) 최상의 선(善)은 물과 같은 것이라 했어요 최고의 도(道)는 바위를 만나면 나누어 비켜가는 물과같이 몸을 낮추어 다투지 않는것이라 했지요 중국 춘추시대 초나라의 철학자인 노자(老子)의 대표적인 저서 도덕경(道德經) 제8장에 .. 일반상식 2019.03.06
소한의 정의(定義) 소한의 정의(定義), 의의(意義), 속담(俗談) 01. 소한(小寒)의 정의(定義)24절기(節氣) 중 23번 째 절기로 동지(冬至)와 대한(大寒) 사이에 있다. 작은 추위라는 뜻의 절기. 양력 1월 5일 무렵이며, 음력으로는 12월에 해당.02. 소한(小寒)의 의의(意義)소한은 해가 양력으로 바뀌고 처음 나타나는 절기이다. 소한무렵은 정초한파(正初寒波)라 불리는 강추위가 몰려오는 시기다.농가에서는 소한부터 날이 풀리는 입춘(立春)전까지 약 한 달간 혹한(酷寒)에 대비(對備)해 만반(滿盤)의 준비(準備)를 해둔다.눈(雪)이 많이 내리는 지방(地方)에서는 문밖 출입(出入)이 어려우므로 땔감과 먹을거리를 집안에 충분(充分)히 비치(備置)해 두었다.03. 관련 속담(俗談)1)대한(大寒)이 소한 집에 놀러 갔다.. 일반상식 2019.02.23
동지(冬至)의 어원(語源) 동지(冬至)의 어원(語源)/유래(由來)/풍속(風俗)/시절음식(時節飮食)1.동지(冬至)의 어원(語源) 24절후의 22번째 절기 음력으로는 11월 중기(中氣)이며 양력으로는 태양이 적도이남 23.5도의 동지선(冬至線 :南回歸線)과 황경(黃經) 270도에 도달하는 12월 22일 또는 23일을가리킨다. 대설의 다음이며 소한의 앞이다. 24절기 중 가장 큰 명절로 즐겼다. 일 년 중에서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이다. 태양이 남회귀선, 적도이남 23.5도인 동지선에 도달한 시절로 밤이 제일 길다. 반대로 남반부에서는 낮이 가장 길고 밤이 짧다. 다음날부터는 차츰 밤이 짧아지고 낮이 길어지기 시작한다. 동지는 24절기의 하나로서 일 년 중에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이다. 24절.. 일반상식 2019.02.23
입춘(立春)의 유래(由來) 입춘(立春)의 유래(由來), 하는 일, 음식(飮食)] 1.입춘(立春)의 유래(由來) 입춘은 24절기 중 첫 번째 절기로 음력 1월이나 2월 초에 해당됩니다. 금년은 양력 2월 4일이지요! 태양의 황경(黃經)이 315˚에 왔을 때를 이르며 이날부터 봄이 시작된다는 뜻입니다. 또 입춘 전날은 '절분'.. 일반상식 2019.02.23
정월대보름의 정의(定義), 정월대보름의 정의(定義), 의미(意味), 유래(由來), 놀이, 음식(飮食) 1.정월대보름 정의(定義) 음력 1월15일로 가장 많은 세시풍속이 전하는 명절의 하나 정월 대보름은 보통 대보름이라 하며, 상원(上元)이라고도 한다. 금년 정월대보름은 양력 2월 19일 이지요! 대보름은 연중 가장 먼저 만.. 일반상식 2019.02.23
세계 화폐 최고액권 소개 세계 화폐 최고액권 소개▲ 대한민국의 5만원 배추 잎은 저리 가라!!! 호박 잎의 시대가 왔다.신사임당이 그려진 5만원권입니다. 최고액권치고는 아직도 적은 액면가입니다.신사임당이 왜 그려졌는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 일본의 10,000엔 우리나라 돈으로 135,000원 정도 됩니다.5만원권의 .. 일반상식 2019.02.17
까치설과 우리설 까치설과 우리설 까치 까치 설날은 어저께고요 우리 우리 설날은 오늘이래요 곱고고운 댕기도 내가 드리고 새로사온 신발도 내가 신어요 우리언니 저고리 노랑 저고리 우리동생 저고리 색동 저고리 아버지와 어머니 호사 하시고 우리들의 절받기 좋아 하셔요 이 노래는 일제강점기인 192.. 일반상식 2019.02.05
새옹지마(塞翁之馬)와 전화위복(轉禍爲福) 새옹지마(塞翁之馬)와 전화위복(轉禍爲福) 인간만사새옹지마(人間萬事塞翁之馬)라는 말이 있어요 이 말은 회남자(淮南子)의 인간훈(人間訓)에 나오는 이야기인데 ‘회남자’는 중국 한나라 무제때인 기원전 120년께 회남왕 유안이 많은 학자들과 함께 정치,신화,천문,지리 등 다양한 내.. 일반상식 2019.02.05
욕설로 풀어 본 한국인의 자화상 욕설로 풀어 본 한국인의 자화상 질병ㆍ형벌ㆍ생활은 물론 역사까지 시대상 반영 외세ㆍ권위주의ㆍ차별 등 억압적 일상을 담아내 화냥년과 호로 상놈의 시대는 가버렸다. 당연히 유전적 의미에서 후레자식도 사라졌다. 한반도에서만이 아니라 제 나라에서도 청(淸)은 힘을 잃어버렸다 .. 일반상식 2019.02.04
화투(花鬪)와 우리생활 화투(花鬪)와 우리생활 화투(花鬪)는 12종류 48장으로 되어 있는 놀이딱지의 일종이지요 이 화투는 장사차 조선을 왕래하던 대마도(쓰시마섬) 상인들에 의해 일본의 카드놀이인 화찰(花札)이 조선시대 후기에(19세기경) 우리나라에 들어 왔어요 간혹 이 화투를 "화토"로 잘못 발음하는 경우.. 일반상식 2019.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