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시(布施)와 음덕(陰德) 보시(布施)와 음덕(陰德) 부처는 중생들에게 시(施)·계(戒)·생천(生天)를 강조했어요 이것을 ‘삼론(三論)’이라고 하는데 시(施)란 보시를 말하고 계(戒)·란 지계를 말하며 생천(生天)이란 좋은 곳 즉 선취(善趣) 혹은 하늘나라(天界)에 태어나는 것을 말함이지요 그런데 세번째의 생천.. 일반상식 2019.01.07
동지(冬至)의 어원(語源)/유래(由來)/풍속(風俗)/시절음식(時節飮食) 동지(冬至)의 어원(語源)/유래(由來)/풍속(風俗)/시절음식(時節飮食) 1.동지(冬至)의 어원(語源) 24절후의 22번째 절기 음력으로는 11월 중기(中氣)이며 양력으로는 태양이 적도이남 23.5 도의 동지선(冬至線 :南回歸線)과 황경(黃經) 270도에 도달하는 12월 22일 또는 23일을가 리킨다. 대설의 다.. 일반상식 2018.12.21
도로원표(道路元標)와 이정표(里程標) ▲ 광화문 사거리 교보빌딩 앞에있는 '고종즉위40년칭경기념비(高宗卽位四十年稱慶紀念碑)(위) 우리나라 도로거리의 기준점인 도로원표가 기념비 안에 함께 있어요(아래) ◆ 도로원표(道路元標)와 이정표(里程標) ◆ 우리가 고향길을 가다보면 수많은 이정표를 만나게 되는데그 이정표(里程標)에는 목적지의 거리가 표시되어 있지만 그 깃점을 잘 몰라요예를들어 부산를 가려고 하는데 부산이 50Km남았다고 이정표에 쓰여 있으면 그 50Km 지점이 부산에 어디쯤인지를 잘 모르지요 부산시 경계지점을 말하는건지 아니면 해운대를 말하는건지 알수가 없어요그래서 그 지점을 정확히 하고자 어느곳이든 도로원표(道路元標)를 세워 놓았지요여기서 도로법을 잠깐 살펴보면도로원표(道路元標)는 도로의 기점(起點) ·종점(終點) 또는 경과지를 .. 일반상식 2018.12.17
세계에서 제일 좋은 술 세계에서 제일 좋은 술 1. 헨리4세 두도뇽 - 프랑스 꼬냑 [22억] 2. 맥칼랜 라리끄서퍼듀 - 스코틀랜드 위스키[5억2800만] 3. 윈저 다이아몬드 주빌리 - 스코틀랜드 위스키[3억] 4. 보떼뒤 시에클 - 프랑스 꼬냑[2억] 5. 더 맥칼랜1926 파이어앤레어 - 스코틀랜드[1억] 6. 글랜피딕55 자넷 - 스코틀랜드 .. 일반상식 2018.12.17
외국인의 눈에 비친 한국인 외국인의 눈에 비친 한국인의 모습 한 외국인 목사와 한국에서 11년동안 기자생활을 하였던 한 외국인 기자가 한국을 떠날 때 나눈 대화입니다. 그는 한국에 머무는 동안 보고 듣고 느낀 바를 整理하여 말하면서 韓國人들의 長點을 이야기하였다. 그의 얘기를 듣는 중에 그에게 청하기를 .. 일반상식 2018.12.10
속옷의 역사 속옷(팬티)의 역사 우리 인류가 살아오면서 언제부터 속옷을 입었을까요? 처음에는 겉옷도 없어서 짐승의 가죽이나 털로 명맥을 유지 하였지요 그러다 식물의 섬유를 발견하여 점차 획기적인 의복이 만들어지게 되었지만 겉옷에만 치중하였지 속옷에는 별 관심이 없었어요 인간의 오욕(.. 일반상식 2018.12.10
12가지 띠의 모든것 12가지 띠의 모든것 ☞쥐띠☜1. 장점 → 매력적이다. 상상력이 풍부하다. 신중하다.정직하다. 검소하다. 이지적이다. 영리하다. 독립적이다.낭만적이다. 정열적이다. 관대하다.주변의 사람을 기쁘게 하려 노력한다. 몹시 긴장한다. 2. 단점 → 공격적이다. 탐욕스럽다. 방자하다. 의심이 많.. 일반상식 2018.11.10
가훈으로 좋은 문구 ◈ 가훈으로 좋은 문구 ◈ 樂善不倦 : 락선불권 - 선을 즐기는 사람은 권태로움이 있을 수 없다 自勝子强 : 자승자강 - 자신을 이기는 자가 강한 자다 人一己百 : 인일기백 - 남이 한 번 할 때, 나는 백 번을 해서라도 따라간다 大道無門 : 대도무문 - 큰 도는 이름조차 없는 것이다 無言實踐 :.. 일반상식 2018.11.09
입동(立冬)의 정의(定義), 내용(內容), 입동(立冬)의 정의(定義), 내용(內容), 풍속(風俗), 속담(俗談), 음식(飮食)] 1.정의(定義) 24절기 중 열아홉 번째 절기. 이날부터 겨울이 시작된다고 하여 입동(立冬)이라고 한다. 태 양의 황경(黃經)이 225도일 때이며, 양력으로는 11월 7일 또는 8일 무렵, 음력으로는 10월 에 든다. 서리가 내린.. 일반상식 2018.11.08
상강(霜降)의 정의(定義), 풍습(風習), 상강(霜降)의 정의(定義), 풍습(風習), 음식(飮食), 속담(俗談) 1.정의(定義) 가을의 마지막 절기 상강은 한로(寒露)와 입동(立冬) 사이에 드는 24절기 중 18번째 절기로 서리가 내리는 시기로 양력 10월 23일경으로 이 시기는 가을의 쾌청한 날씨가 계속되는 대 신에 밤의 기온이 매우 낮아지는 .. 일반상식 2018.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