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세를 떠난다는 속리산(俗離山) 속세를 떠난다는 속리산(俗離山) 서유기 5권에 보면 속세를 떠나는 장면이 나오지요 지금 가는 이 길은 오로지 간절하게 삼장 불경을 구하고 도를 수양하고자 정진하는 길이지요 새벽이면 길을 걷다가 밤이면 쉬고 목마름과 굶주림을 견디며 가다보니 어느새 봄이 가고 여름도 저물어 다.. 일반상식 2018.10.11
무진장(無盡藏)의 의미 무진장(無盡藏)의 의미 우리가 평소에 많이 쓰는 말중에 '무진장(無盡藏)'이란 말이 있어요 "사람들이 무진장 모여 있더라" "차가 무진장 밀리더라" 엄청나게 혹은 하염없이 많다는 의미로 자주 쓰이는 말이 무진장이지요 무진장(無盡藏)을 한자 그대로 풀이하면 "다함이 없는 창고"라는 .. 일반상식 2018.10.09
CNN 선정,한국은 세계 어떤 나라보다 뛰어난 10 가지가 있다 CNN 선정,한국은 세계 어떤 나라보다 뛰어난 10 가지가 있다 미국의 보도전문채널 CNN은, “세계에서 109번째로 큰 한국에는, 북한문제나 한류(韓流) 뿐만 아니라, 주목할 것들이 많다”며, 한국을 대표하는 10가지를 선정해 소개했다. 1. 가장 먼저 소개된 한국의 특징은, 세계 어느 국가와 비.. 일반상식 2018.10.06
역사이야기 ♣ 부족함을 안다는것(정관정요貞觀政要) ♣ 역대 중국 황제 중 당태종 이세민은 최고의 명군으로 꼽히는 인물이지요 그의 치세는 당나라의 정치,경제,문화,예술 등 모든 면에서 탁월한 성세를 누렸어요 고구려를 제외한 모든 나라가 무릎을 꿇었지요 그래서 당태종이 다스리던 시대를 .. 일반상식 2018.10.04
인간(人間)의 도리 인터넷 예절 10가지*◑*|‥자♡유‥게시판‥ 유라선 | 조회 19 |추천 0 |2018.09.21. 05:23 http://cafe.daum.net/foliagw/77iU/42519 ♡인간(人間)의 도리♡ 인간의 마음은 시시각각으로 변하길 잘하지만 변하지 않는 마음을 간직하는 것은 인간의 최대도리 이다 하찮은 이해에 얽혀서 신의를 잃어서는 안 .. 일반상식 2018.09.22
국화꽃 이야기 ♡ 국화(菊花) 이야기 ♡ 가을의 깊은 맛은 국화(菊花) 향기에서 온다고 했던가요? 요즘 국화가 만발하여 은은한 향기와 함께 아름다움을 자아내고 있어요 국화(菊花)는 여름엔 잎새를 살피고 가을엔 꽃을 음미하며 낮엔 자태를 보고 밤엔 그림자를 보라 했지요 국화(菊花)는 동양에서 재배하는 관상식물 중 가장 역사가 오랜 꽃이며 매화 · 난초 · 대나무와 함께 일찍부터 사군자의 하나로 지칭되어 귀히 여겨왔어요 뭇 꽃들이 모두 사라진뒤 차가운 서리를 맞으며 홀로 피는 국화의 모습에서 우리 선인들은 고고한 기품(氣品)과 절개를 지키는 군자(君子)의 모습을 보았지요 가을은 울긋불긋 물들어가는 단풍도 아름답지만 그윽한 향기를 피워내는 국화꽃이야말로 더할나위 없는 가을 낭만(浪漫)이기도 하지요 시골 아낙의 수수한 모습 .. 일반상식 2018.09.22
화투장속에 담긴 뜻 몇 년 전, 국내의 한 여론조사 전문기관이 성인남자들에게 “여가시간에 많이 즐기는 게임이 무엇이냐? 라는 설문조사를 했다. 그 때 압도적 1위를 차지한 것이 ‘고스톱’이라는 화투(花鬪)놀이였다. ‘그런데 고스톰을 칠려면 반듯이 세사람이 판을짜야한다 그래서 멤버를 구하러 다닌.. 일반상식 2018.09.18
절식(節食)과 시식(時食) ◆절식과 시식 우리 조상은 예부터 ‘절식’과 ‘시식’을 했습니다. 24 절기와 명절에 맞춰 먹는 음식이 바로 절식(節食)입니다. 입춘(立春)에 궁중에선 수라상에 오신반(五辛盤)을 올리고, 민가에선 세생채(細生菜)를 즐겨 먹었습니다. 시식(時食)은 제철 음식을 가리킵니다. 조상이 즐.. 일반상식 2018.09.18
예의염치와 효제충신 ▲ 백범 김구 선생의 휘호 "예의염치" ♣ 예의염치(禮義廉恥)와 효제충신(孝悌忠信) ♣ 남에게 신세를 지거나 폐를 끼치거나 할때 부끄럽고 미안한 마음을 가지는 상태를 ‘염치(廉恥)’라 하지요 반대로 남에게 폐를 끼치고도 그것을 아무렇지 않게 여기는 사람 남의 신세를 지고서도 고.. 일반상식 2018.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