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 끝까지 오른 항룡유회 하늘 끝까지 오른 항룡유회 ◈ 항룡유회(亢龍有悔) ◈ 항룡유회(亢龍有悔)라는 말은 목 항(亢), 용 룡(龍), 있을 유(有), 뉘우칠 회(悔)자를 쓰는데 절정에 이른 용은 자칫 후회하기 쉽다는 뜻이지요 즉 영달을 다한 자는 더 이상 오를수 있는 길도 없으며 쇠퇴할 염려가 있으므로 삼가라는 .. 일반상식 2018.07.04
[스크랩] 아 ! 씻을 수 없는 우리민족 최대의 "굴욕" 아 ! 씻을 수 없는 우리민족 최대의 "굴욕" 이 글은 우리 조상들이 自招한 최대 치욕의 역사를 편집한 글 입니다. 역사는 승자의 편에 의해서 씌여진다지만. 이 글은 조선 史官들에 의해 씌여진 '實錄' 에 수록된 글들입니다. 형제국으로 잘 지내 보.. 일반상식 2018.07.02
천사의 나팔꽃과 악마의 나팔꽃 ▲ 천사의 나팔꽃(위), 악마의 나팔꽃(아래) ... ♡ 천사의 나팔꽃과 악마의 나팔꽃 ♡ 우리가 보통 알고있는 나팔이 있지요 조선시대때 사물놀이 패들의 나팔부터 근대의 경음악단의 트럼펫처럼 나팔은 여러종류가 있어요 그래서 나팔처럼 생긴꽃을 나팔꽃이라 부르지요 그런데 우리가 .. 일반상식 2018.07.02
나팔꽃 사랑 ▲ 나팔꽃의 아름다움 ... ♡ 나팔꽃 사랑 ♡ 옛날 중국에 그림을 잘 그리는 화공(畵工)이 있었어요 그의 그림은 보는 이들이 입을 다물지 못할 정도로 잘 그리는 화공이었어요 어찌나 그림 솜씨가 뛰어났던지 그의 이름은 이웃 나라 까지도 널리 알려지게 되었고 지위고하를 막논하고 평.. 일반상식 2018.07.02
해불양수(海不讓水) ♡ 해불양수(海不讓水) ♡ 우리의 사자성어중에 해불양수(海不讓水)라는 말이 있어요 이는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제나라의 승상이었던 관중(管仲)에 대하여 서술한 "관자(管子)의 형세해(形勢解)"에서 나오는 말이지요 관중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고사성어인 관포지교(管鮑之交)에서 나오는 포숙아와 참된 우정을 나눈 관중이지요 관중은 제나라의 승상으로 임용되어 임금인 환공을 도와 제나라를 강대국으로 만든 사람이지요 그런데 제환공은 제나라 임금이 되기 전에 왕위를 다투던 형에 의해 암살을 당할 뻔 하였는데 당시 제환공에게 화살을 쏘아 암살을 시도했던 사람이 바로 관중이었어요 제환공은 관중이 발사한 화살을 맞았으나 허리띠가 화살을 막아주어 구사일생으로 살아나서 제나라의 임금이 될 수 있었지요 그런데 제환공은 자신을 죽이.. 일반상식 2018.07.02
요조숙녀(窈窕淑女) 현모양처(賢母良妻) 요조숙녀(窈窕淑女) 현모양처(賢母良妻) 우리가 늘 정숙하고 현숙한 여인을 말할 때 요조숙녀(窈窕淑女) 현모양처(賢母良妻)라는 말을 많이 쓰지요 그럼 과연 요조숙녀와 현모양처의 원뜻은 어떠할까요? 『시경(詩經)』남주(南州)편에 보면 요조숙녀 군자호구(窈窕淑女 君子好逑)란 말이 .. 일반상식 2018.05.25
세계에서 제일 좋은 술 세계에서 제일 좋은 술 1. 헨리4세 두도뇽 - 프랑스 꼬냑 [22억] 2. 맥칼랜 라리끄서퍼듀 - 스코틀랜드 위스키[5억2800만] 3. 윈저 다이아몬드 주빌리 - 스코틀랜드 위스키[3억] 4. 보떼뒤 시에클 - 프랑스 꼬냑[2억] 5. 더 맥칼랜1926 파이어앤레어 - 스코틀랜드[1억] 6. 글랜피딕55 자넷 - 스코틀랜드 .. 일반상식 2018.05.25
사주팔자(四柱八字)란 어떤 것일까? 사주팔자(四柱八字)란 어떤 것일까? 사람의 사주(四柱)란 어떤 것일까요? 한마디로 태어날때부터 누구는 부귀영화를 누리며 사는 사주이고 누구는 찢어질듯 가난하게 살아가야할 사주라면 너무도 슬픈일이 아닐수 없어요 예를 들어 A라는 사람의 사주가 30세 이전에 사고로 인해서 반신.. 일반상식 2018.05.20
복과 지혜의 차이는 복과 지혜의 차이는 오늘을 돌아보는글입니다. 복과 지혜의 차이는 비교가 되지 않습니다. 복 이란 보통 사람들이 바라는 휭재. 대박. 물질. 명예 직위를 얻는 것들이며 여기에서 지혜라는 것은 인생에 대한 무궁무진한 안목을 말하며 석가.예수.공자 소크라태스 노벨 간디 에디슨. 빌케이.. 일반상식 2018.05.19
자린고비 이야기 ▲ 자린고비 조륵의 유허비... ♣ 자린고비 이야기 ♣ "자린고비" 라는 말은 돈이나 재물 따위를 쓰는데 있어 몹시 인색한 사람을 일컫는 말이지요 이와 비슷한 말로는 '구두쇠, 수전노'가 있으며 그 외에도 '노랭이, 짠돌이, 굳짜, 가죽고리' 등의 별칭(別稱)이 있어요 그럼 먼저 "구두쇠"라.. 일반상식 2018.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