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기치인(修己治人)과 수신제가(修身齊家) 수기치인(修己治人)과 수신제가(修身齊家) 수기치인(修己治人)이란 모든 선비나 위정자들이 갖추어야 할 덕목으로 자신의 몸과 마음을 닦은 후에 남을 다스리는 것을 말함 이지요 이는 유교의 핵심 사상으로 유교가 실현하고자 하는 진리 구현의 방식이기도 한데 유교는 자기 자신의 수.. 일반상식 2019.10.31
제례(祭禮) 절차 제례(祭禮) 절차 (새배를 할 때는 왼손이 위로 올라 가고, 문상을 할 때는 오른손이 위로 올라 간다) ① 영신(迎神) - 신을 맞이한다. ☆ 먼저 대문을 열어 놓습니다. ☆ 제상의 뒤쪽(북쪽)에 병풍을 치고 제상 위에 제수를 진설합니다. ☆ 지방을 써붙이고 제사의 준비를 마칩니다. ☆ 옛날에.. 일반상식 2019.10.30
과부(寡婦) 과부(寡婦) 과부(寡婦)는 남편을 잃고 홀로 지내는 여자를 말하지요 또한 홀아비 홀애비는 아내를 잃고 홀로 지내는 남자를 말함이구요 과(寡)는 ‘홀로’라는 뜻으로 과부는 ‘짝없는 지어미’를 뜻하는데 과부는 과붓집 높임말로 과부댁(寡婦宅) 과수댁(寡守宅) 과댁(寡宅) 등으로도 불.. 일반상식 2019.10.30
자강불식(自强不息)후덕재물(厚德載物) 주역(周易) 64괘(卦)중 첫 괘인 ‘건괘(乾卦)’에 천행건 군자이 자강불식(天行健 君子以 自强不息)이란 말이 나오지요 하늘의 운행은 건장하니 군자는 그것을 본받아 스스로 강건하여 쉼이 없어야 한다는 뜻이지요 자연은 춘하추동(春夏秋冬) 쉬지 않고 이어지고 있어요 추운 겨울이 지.. 일반상식 2019.10.28
노비(奴婢)와 머슴 노비(奴婢)와 머슴 우리의 역사속에는 노비와 머슴이란 것이 있었어요 노비(奴婢)는 전근대사회에 존재했던 최하층 신분의 하나로 보통'종(奴)'이라 불렀는데 노(奴)는 남자종, 비(婢)는 여자종을 말함이지요 노비(奴婢)와 비슷한 말로 노예(奴隷)라는것도 있었지요 단지 주인에 대해 종속.. 일반상식 2019.10.27
혼인(婚姻)과 결혼(結婚) 결혼식은 청춘남여가 쌍을이루고 가정을 이루는 축복의 날이지요 오늘날 선남(善男) 선녀(善女)가 만나 연애를 하고 또는 가족이나 친지 그리고 지인을 통해 맞선을 보지요 그러다 마음이 동(同)하여 백년가약(百年佳約)인 혼인(婚姻)을 하게 되지요 여기서 혼인(婚姻)이라 함은 혼인할혼.. 일반상식 2019.10.20
亞里郞(아리랑)에 담긴 秘密 亞里郞(아리랑)에 담긴 秘密 [한민족 전통 민요 아리랑] ~ 아리랑(亞里郞)은 원래 하느님이라는 뜻 ■ 한민족의 전통 민요인 亞里郞 노래는 우리 한민족의 애환(哀歡)이 담긴 노래이면서,동시에 미래를 예언하는 비결(秘結)이 담긴 노래이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10자),아리랑 고개로 .. 일반상식 2019.10.16
재미있는 성씨(姓氏)풀이 재미있는 성씨(姓氏)풀이 우리가 사용하는 한자 중에는 성씨(姓氏)라는 글자가 있어요 이 씨(氏)라는 글자는 허리 숙인 사람(()이 손()에 쥐고 뿌리는 알()이라 하지요 그러니까 ‘氏’는 허리 숙인 사람이 손에 쥐고 뿌리는 알인 ‘씨’를 나타낸 글자였으나 훗날 사람의 씨인 ‘성씨’를 .. 일반상식 2019.10.13
두문불출(杜門不出)과 황희정승(黃喜政丞) 두문불출(杜門不出)과 황희정승(黃喜政丞) 고려말 최영장군은 상소를 올렸어요 요동(遼東)은 고구려때부터 우리의 고유 영토인데 명나라가 이곳을 침탈하기 위해 철령위를 설치하려하니 이를 정벌해야 한다는 것이었지요 이에 정벌불가를 외치는 온건파 대신들도 있었지만 도당(都堂).. 일반상식 2019.10.09
수불석권(手不釋卷) 괄목상대(刮目相對) 수불석권(手不釋卷) 괄목상대(刮目相對) 옛말에 수불석권(手不釋卷)이란 말이 있지요 이는 손에서 책을 놓지 않는다는 뜻으로 늘 책을 가까이하여 학문(學問)을 열심히 하라는 뜻이지요 사실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것은 수불석권(手不釋卷)의 자세가 아닐까 싶어요 수불석권은 손에서 책.. 일반상식 2019.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