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혼인생 237

人生無常(인생무상)

인생무상(人生無常) 인생(人生) 예순(六十)은 해(年)로 늙고 일흔(七十)은 달(月)로 늙고 여든(八十)은 날(日)로 늙고 아흔(九十)은 때(時)로 늙고 백세(百世)가 되면 분(分)마다 늙는다고 말 했다. 유수불복회(流水不復回) 흐르는 물은 다시 돌아오지 않고, 행운난재심(行雲難再尋) 떠도는 구름은 다시 볼 수 없네. 노인두상설(老人頭上雪) 늙은이의 머리위에 내린 눈은, 춘풍취불소(春風吹不消) 봄 바람이 불어와도 녹지를 않네. 춘진유귀일(春盡有歸日) 봄은 오고 가고 하건만, 노래무거시(老來無去時) 늙음은 한번 오면 갈 줄을 모르네. 춘래초자생(春來草自生) 봄이 오면 풀은 저절로 나건만, 청춘유불주(靑春有不住) 젊음은 붙들어도 머물지 않네. 화유중개일(花有重開日) 곷은 다시 피는 날이 있으나, 인생갱소년(..

황혼인생 2022.08.16

우리 人生은 이렇다네!

우리 人生은 이렇다네! 月下 金達鎭 詩人 "인생 예순은 해(年)로 늙고, 일흔은 달(月)로 늙고, 여든은 날(日)로 늙고, 아흔은 때(時)마다 늙고, 백세가 되면 분(分)마다 늙는다." 고 말했다. 노후(老後)의 친구는 01. 가까이 있어야 하고 02. 자주 만나야 하며 03. 같은 취미면 더 좋다. 流水不復回(유수불복회 흐르는 물은 다시 돌아오지 않고, 行雲難再尋(행운난재심) 떠도는 구름은 다시 볼 수 없네... 老人頭上雪(노인두상설) 늙은이의 머리위에 내린 흰 눈은... 春風吹不消(춘풍취불소) 봄 바람이 불어 와도 녹지를 않네... 春盡有歸日(춘진유귀일) 봄은 오고 가고 하건만, 老來無去時(노래무거시) 늙음은 한 번 오면 갈 줄을 모르네, 春來草自生(춘래초자생) 봄이 오면 풀은 저절로 나건만 靑春留不..

황혼인생 2020.10.18

장년의 12도(나를 돌아보는 12道)

장년의 12도(나를 돌아보는 12道) 第1道-언도(言道) 나이가 들면 말의 수(數)는 줄이고 소리는 낮추어야 한다. 第2道-행도(行道) 나이 들면 행동(行動)을 느리게 하되 행실(行實)은 신중(愼重)해야 한다. 第3道-금도(禁道) 나이 들면 탐욕(貪慾)을 금(禁)하라. 욕심(慾心)이 크면 사람이 작아 보인다. 第4道-식도(食道) 나이가 들면 먹는 것이 중요하다. 가려서 잘 먹어야 한다. 第5道-법도(法道) 삶에 규모(規模)를 갖추는 것이 풍요(豊饒)로운 삶보다 진실(眞實)하다. 第6道-예도(禮道) 나이든 사람도 젊은이에게 갖추어야 할 예절(禮節)이 있다. 대접(待接)만 받으려 하지 말아야 한다. 7道-낙도(樂道) 삶을 즐기는 것은 욕망(慾望)을 채우는 것에 있지 않다. 간결(簡潔)한 삶에 낙(樂)이 있다..

황혼인생 2020.10.11

인생살이 三無

인생살이 三無(삼무) "正.秘.空"(정.비.공)이 없다고 합니다. 正答(정답)이 없고 秘密(비밀)이 없고 空(공)짜가 없다' 라는것 맞는 말 같습니다. 인생에 정답이 어디 있겠소? 젊어서는 재력이 있어야 살기가 편안하나 늙어서는 건강하고 돈이 있어야 살기가 편안하지요. 재산이 많을수록 죽는 것이 더욱 억울하고, 인물이 좋을수록 늙는 것이 억울하다지요. 아파봐야 건강의 가치를 알 수 있고, 늙어봐야 시간의 가치를 알 수 있다는 거지요. 권력이 너무 커서 철창신세를 맞보기도 하고, 재산이 너무 많아 쪽박신세를 지기도 한답니다. 육신이 약하면 하찮은 병균마저 달라들고, 입지가 약하면 하찮은 인간마저 달려든다네요. 세도가 든든할 때는 사돈의 팔촌도 모여들지만, 몰락한 날이 오면 측근의 형제마저 떠나간다지요. 늙..

황혼인생 2020.09.18

산다는 것의 의미

산다는 것의 의미 살아보니 알겠다 삶은 사는게 아니라 살아진다는 것을 제 아무리 잘 살아보려고 애를 써도 그러면 그럴수록 삶은 저만치 비켜서서 자꾸만 멀어지고 내가 아무리 몸부림에 젖지 않아도 삶은 내게 기쁨을 준다는 것을 삶은 살아보니 알겠다 못 견디게 삶이 고달파도 피해 갈 수 없다면 그냥, 못 이기는 척 받아들이는 것이다 넘치면 넘치는 대로 부족하면 부족한 대로 감사하게 사는 것이다 삶을 억지로 살려고 하지마라 삶에게 너를 맡겨라 삶이 너의 손을 잡아줄 때까지 그렇게 그렇게 너의 길을 가라 삶은 사는게 아니라 살아지는 것이러니 주어진 너의 길을 묵묵히 때론 열정적으로 그렇게 그렇게 가는 것이다 - 中 -

황혼인생 2020.06.18

황혼의"건강 십진법

황혼의"건강 십진법 1은 하루에 한번 이상 마음속으로 '오늘 이런 좋은 일을 했다, 남을 위해 뭔가를 했다.'라는 말을 할 수 있게 살자. 10은 하루에 열번은 파안대소를 하자는 것이다. 약의 효과는 본인의 마음 먹기에 달려 있다. 하루에 열번 이상 크게 웃으면서 약을 먹어야 약효 100%이다. 100은 하루에 100글자 이상씩 써야 한다는 것이다. 손은 작은 뇌라고 한다, 천재의 머리보다 몽당 연필 낫다는 말이 있다. 직접 쓰는 것이 머리의 기억보다 낫다는 말이다. 1000은 하루에 최소한 자기 눈으로 이해하는 천 글자는 읽으라는 것이다. 인터넷 갖고 두시간만 메일 작성하거나 읽으면 두 가지는 자동 해결! 10000은 하루에 1만보를 걷자는 것이다. 이것이 늙은이의 건강 십진법이다. 정서적인 건강을 위..

황혼인생 2020.06.03

품위(品位) 있는 노인(老人)의12가지 법도(法道)

品位 있는 老人의12가지 法道 1. 언도(言道) - 노인은 말의 수는 줄이고, 소리는 낮추어야 한다. 2. 행도(行道) - 노인은 행동을 느리게 하되 행보는 신중해야 한다. 3. 금도(禁道) - 노인은 탐욕을 금하라. 욕심이 크면 사람이 작아 보인다. 4. 식도(食道) - 노인은 먹는 것으로 산다. 가려서 잘 먹어야 한다. 5. 법도(法道) - 삶에 규모를 갖추는 것이 풍요로운 삶보다 진실하다. 6. 예도(禮道) - 노인도 젊은이에게 갖추어야 할 예절이 있다. 대접만 받으려 하지 말아야 한다. 7. 낙도(樂道) - 삶을 즐기는 것은 욕망을 채우는 것에 있지 않다 간결한 삶에 낙이 있다. 8. 절도(節道) - 늙음이 아름다움을 잃는 것은 아니다. 절제하는 삶에 아름다움이 있다. 9. 심도(心道) - 인생의..

황혼인생 2020.06.01

인생삼락

인생삼락 아버님이 뿌려주신 많고많은 씨앗중에 모든경쟁 물리치고 오직하나 살아남아 어머님의 몸속에서 반겨주는 인연만나 열달해로 하고나서 몸밖으로 나왔더만 기다리고 기다리던 부모형제 이웃사촌 웃음으로 맞으시니 태어남이 일락이요 태어난게 기적인데 무슨욕심 더할손가 좋은세상 따로있나 마음먹기 나름이지 욕심하나 버렸더니 온세상이 우정이고 욕정하나 버렸더니 온세상이 사랑일세 빈손으로 태어나서 우정하나 사랑두울 양손으로 쥐었으니 이게바로 이락이요 덤과같은 인생살이 아쉬울게 무엇이랴 하루하루 행복하게 즐기면서 살아가소 오늘가나 내일가나 남는것이 인생인데 화낼일이 무엇이고 다툴일이 뭐라던가 후회없고 미련없는 세상살이 누린후에 우정배웅 사랑배웅 받는것이 삼락이네 여보시게 벗님네야 인생살이 별거없다 오실때는 울었지만 가실때..

황혼인생 2020.05.20